사진은 본문과 무관함.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본문과 무관함.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과기정통부,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수립

[천지일보=강병용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5일 제14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과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일정 검토 및 향후 계획안’을 심의·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확정된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은 2013년에 수립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2014~2040)’ 이후 발생한 대내외 여건과 환경변화를 반영해 문재인 정부 5년간(2018~2022)의 우주개발 계획과 2040년까지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이번 계획은 작년 3월부터 산·학·연 전문가 96명으로 구성된 7개의 분과위원회와 기획위원회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어떡할래 TF’를 통한 토론, 공개토론회, 부처협의 등을 거쳐 최종 마련됐다.

과기정통부는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본계획과 개발상황의 일시적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3단계 본발사 일정을 재검토했다.

우주발사체 기술자립을 위해 1.5t 실용급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에 투입 가능한 3단형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주력하고 비행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발사체 발사는 올 10월에 예정대로 시행할 계획이다.

이후 1차 3단형 본발사는 당초 일정을 연기해 2021년 2월, 2차 본발사는 2021년 10월에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2013년 11월 박근혜 정부시절 수립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는 1단계(2017년)에 시험용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2단계(2020년)에 달 궤도선·착륙선을 발사한 후 3단계(2030년)에 달 샘플 귀환선을 쏘아올릴 계획이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이후 수립된 ‘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은 ‘달탐사’ 계획을 ‘행성 탐사’로 변경했다. 행성탐사 1단계에서는 시험용 달 궤도선을 2020년까지 쏘아올리고 2단계에 달 착륙선을 2030년까지 발사한다. 3단계로 2035년까지 소행성 귀환선을 우주로 보낸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형 발사체의 발사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추진제탱크의 개발일정상 병행이 가능한 공정을 발굴해 제작하고 발사체 조립 후 모델별 시험 일정과 검증일정을 단축하는 등 노력할 계획이다.

시험발사 성공 후에는 본발사 성공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형발사체 성공발사 추진본부를 구성·운영해 진도점검과 정보제공 등을 추진하고 발사관리위원회와 비행시험위원회 등 기술점검을 위한 협의체도 가동할 예정이다.

또 4차 산업시대의 성장동력 기반인 위치·시각정보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한반도 인근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Korea Positioning System)을 2035년까지 구축한다.

이 밖에 올해 안에 ‘우주 산업화 및 우주일자리 창출 촉진 전략’을 수립하고 우주개발을 단계적으로 민간중심으로 전환해 우주개발사업이 우주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기본계획에 제시한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 한국형발사체 발사, 달 탐사 성공, 우주일자리 1500명 등 5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겠다”며 “국민과 함께하고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우주개발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