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구역 제2호묘 출토 금동제 관모(왼쪽)와 A구역 제2호묘 출토 삼엽문 환두대도 (출처: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A구역 제2호묘 출토 금동제 관모(왼쪽)와 A구역 제2호묘 출토 삼엽문 환두대도 (출처: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무덤
금동제 관모, 말방울 등 출토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무덤에서 대외교류 유물이 확인됐다.

15일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에 따르면,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 정비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대가야의 전성기인 5세기 중엽부터 신라에 병합된 6세기 말경까지 조성된 고분 74기를 비롯해 모두 89기의 유구가 확인됐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은 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무덤이다. 지난해 6월부터 문화재청 문화재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으로 고분군의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6세기 대가야의 대외교류를 짐작하는 유물이 확인돼 주목된다. A구역 제2호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 앞트기식돌방무덤)에서는 금동제 관모(冠帽), 환두대도(環頭大刀, 둥근고리자루큰칼), 말방울(馬鈴), 철제 갑옷편(小札)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됐는데, 금동제 관모는 백제 관모와 형태적으로 연결돼 제작기술의 교류를 살필 수 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 전경(출처: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고령 지산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 전경(출처: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A구역 제2호묘 출토 삼엽문 환두대도는 인접한 지산동 제45호분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데 이러한 형태는 주로 신라지역에서 출토된 사례가 많아 제작기술에 있어 신라와의 교류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주목할 부분은 대가야 무사들이 착용하고 사용했을 철제투구와 마구가 출토됐다. 특히 등자, 재갈, 말안장, 말등 기꽂이 등의 다양한 마구류가 확인됐는데, 이 중 말등 기꽂이는 유일하게 지산동 518호분에서 출토된 사례가 있으며 고구려 벽화고분인 통구12호분에 보이는 개마무사의 말 등에 달린 꾸불꾸불한 기꽂이의 모양과 흡사하다. 이러한 철제무기와 마구류는 완전무장한 대가야의 기마무사 모습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지산동 고분군에서 기존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새로운 순장(殉葬) 형식의 묘제도 확인됐다.

B구역 제17호묘 출토 토기류 (출처: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B구역 제17호묘 출토 토기류 (출처: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1.15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