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송도국제도시. ⓒ천지일보(뉴스천지)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명품도시로 ‘우뚝’
외국인 직접투자103억 달러…외투기업 77개 유치

[천지일보 인천=김미정 기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지난 13일로 개청 14주년을 맞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2003년 10월 개청 이후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액이 지난 8월 말 현재 103억 달러로 전국 8개 경제자유구역 총 실적의 66%를 차지하는 등 ‘리딩 경제자유구역’으로서 급성장하고 있다. 또 외국인투자기업도 77개나 유치했다.

경제자유구역 개발 진척률은 평균 64.8%이며 송도국제도시가 79.1%, 영종이 80.8%, 청라는 100%에 이른다.

이밖에 녹색기후기금(GCF)을 비롯해 세계은행(WB),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등 유엔 산하 기구 9개를 포함해 15개 국제기구가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둥지를 틀었다.

또한 뉴욕주립대를 시작으로 조지메이슨대, 겐트대, 유타대, 지난 8월에는 세계 최고의 패션스쿨인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가 개교해 인천글로벌캠퍼스는 글로벌 교육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송도는 또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밀집되면서 세계적인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도약,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1월 착공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공장이 올해 안에 준공되면 단일 공장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18만 리터(L)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등 내년이면 송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이 총 51만 리터로 세계 1위가 된다.

이와 함께 송도 홈플러스, 현대 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코스트코 코리아 송도점, 송도 트리플스트리트 등이 잇달아 오픈하면서 송도는 주목받는 유통클러스터가 됐다. 또 스마트시티 통합 운영을 위해 ‘IFEZ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자체 구축하고 지식재산권 및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지난달 말까지 해외 45개국의 스마트시티 관계 부처와 기관에서 2400여명이 찾는 등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를 벤치마킹하려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6월 송도에서 개최된 ‘뉴시티 서밋(New Cities Summit)’ 행사는 IFEZ의 스마트시티 모델 수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영종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초의 복합리조트인 파라다이스시티는 지난 4월 1단계 1차 시설을 그랜드 오픈했으며 내년 8월에는 2차 시설이 문을 연다. 2차 시설이 개관하면 총 3000여명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 2017년도 8월말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기본현황.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미단시티 내 시저코리아는 지난 9월 착공 오는 2021년 1단계가 준공된 후 영업이 개시될 계획이다. 영종 국제공 항업무지구(IBC)Ⅲ에 조성되는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는 현재 실시계획 변경 승인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에 있으며 올 하반기 1단계 사업 착공을 계획하고 있다.

금융·유통 중심지구로 도약하고 있는 청라국제도시에 하나금융타운 조성도 지난 6월 1단계 통합데이터센터가 준공됐다. 하나글로벌인 재개발원, 복합체육시설 등이 들어서는 2단계 사업까지 완료되면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함께 지난 8월 건축 허 가된 ‘스타필드 청라’가 복합유통시설용지에 오는 2021년까지 건립되면 청라는 또 유통의 중심지로도 떠오를 전망이다.

이런 성과에도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송도국제도시의 핵심사업인 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 주주사인 게일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 간 갈등으로 2년 넘게 차질을 빚고 있다. 송도 6·8공구 중심부 개발협상에 경제청과 우선협상대상자인 민간컨소이엄이 협약체결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으며 해당 컨소시엄은 경제청 행정에 문제점이 많다며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영종도 미단시티는 토지매각에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10년 만에 외국합작법인과의 토지 공급계약을 해지했다. 또 ‘용유 노을빛타운’ 민간 참여 공동사업이 무산과 복합문화공간 조성사업인 ‘을왕PARK52’도 최근 우선협상대상자 재검토에 들어섰다.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의 발목을 잡는 수도권 규제도 풀어야할 과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국민정서 상 수도권의 전면적인 규제완화가 어렵다면 동북아 중심 국가 건설을 위해 지정된 IFEZ만이라도 수도권에서 배제시켜 줘야한다”며 “수도권 규제에서 제외된다면 ‘국내 대기업 공장 신설’ ‘4년제 대학 신설’ 등이 가능해져 IFEZ 발전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법 적용으로 인한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성장관리권역’ 이어서 대기업 공장의 신·증설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고 연면적 500㎡ 이상 공장의 신·증설도 공장총량제의 쩍용을 받기 때문에 국내 기업 입주가 어렵고 외국인투자유치 부진을 초래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령 청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이 국내 경제자유구역의 롤 모델을 이어가는 것은 물론 상하이·홍콩·싱가포르, 두바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특히 워터프런트 조성, 6·8공구 개발, 제3연륙교 건설, 글로벌캠퍼스 2단계, 송도컨벤시아 2단계 등 현안 사업 해결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