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임태경 기자]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진 가운데 한미 간 내외금리차가 역전되더라도 한국에서 대규모 자본유출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LG경제연구원 이창선 수석연구위원과 박성준 연구원은 ‘추가 인상 예고된 미국 금리, 자본유출보다는 시중금리 상승 압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미 연방준비위원회(연준, Fed)는 연방기금금리를 0.25%p 인상한 데 이어 연내 2차례 더 금리 인상 단행을 시사했다. 이럴 경우 연말이면 연방기금금리는 1.25~1.5%로 한국의 기준금리 1.25%를 넘어설 전망이다.

보고서는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예상되면서 자본유출 우려가 제기되지만, 금융시장 및 경제에 혼란을 야기할 정도의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하지는 않을 전망”이라며 “자본유출입은 금리차 외에도 환율에 대한 예상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고 말했다.

또한 “높아진 국가신용등급이나 외환건전성을 감안하면 대규모 외화유출을 야기할 정도로 일방적인 원화절하 기대가 형성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유럽지역 국가들보다 한국의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점도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꼽았다.

2015년 말 기준 증권투자와 기타투자에서 미국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4.7%, 13.8%인 데 비해 유럽계 자금은 각각 24.6%, 13.1%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한미 간 금리가 역전된 2차례 시기에서도 우려할 정도의 자본유출은 없었다. 지난 1999년 7월~2001년 3월, 2005년 8월~2007년 9월에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났지만, 직접투자, 증권투자, 기타투자를 합한 전체 자본유출입에서 순유입 추세가 유지됐다. 다만 개별 자본유출입 항목이나 금융시장 움직임에서는 차이를 드러냈다.

보고서는 “한미 금리 차가 역전된 상황에서 대외충격이 발생하면 자본유출이 커지거나 자본유출입이 보다 빈번해질 수 있다”며 “경기가 급락하지 않는 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는 점차 어려워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정책금리가 미국금리와 동반 인상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중금리는 상승압력을 받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