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올레’의 주연 배우 박희순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천지일보와의 인터뷰 전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때로는 카리스마 넘치게, 때로는 엉뚱한 캐릭터로 분해 깊은 인상을 남겨온 배우 박희순이 영화 ‘용의자’ 이후 3년 만에 ‘올레(감독 채두병)’로 돌아왔다.

영화 ‘올레’는 다 때려치우고 싶은 순간, 대학 선배 부친의 부고 소식에 제주도로 모인 세 남자 ‘중필(신하균 분)’ ‘수탁(박희순 분)’ ‘은동(오만석 분)’의 예측불허 해프닝을 담고 있는 코미디다.

박희순은 영화 ‘올레’에서 오랜 고시생 생활에 찌들어 살던 ‘수탁’으로 분해 뽀글뽀글 파마머리와 편해도 너무 편한 옷차림으로 관객들 앞에 등장한다.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박희순은 파마머리가 아니었다. 우스꽝스러운 패션도 아니었다. 단정한 깔끔한 머리에 회색 니트를 입은 깔끔한 스타일이었다.

그만큼 연기력과 넘치는 카리스마로 관객을 사로잡은 것이다. 박희순이 말하는 ‘올레’는 어떨까.

▲ 영화 ‘올레’의 주연 배우 박희순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천지일보와의 인터뷰 전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다음은 박희순과의 일문일답.

-영화 ‘올레’ 어떻게 봤나.

기술시사회 때 보고 두 번째로 봤다. 처음에 볼 때는 제가 연기한 거 보느냐고 정신이 없어서 잘 못 봤는데 어제는 관객들이 있어서 의도했던 부분에서 반응들이 나와서 (불안한 마음을) 내려놓고 즐겁게 봤던 것 같다.

-재밌는 영화다. 선택하신 이유는.

캐릭터 자체가 해본 적 없었던 캐릭터이기 때문에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븐데이즈’라는 작품이 들어왔을 때 대본도 재밌지만 ‘이런 캐릭터를 안 해봤는데 이런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을 해서 한 1년 기다렸다가 작품을 하게 됐다. 이 작품도 재작년에 들어왔는데 늦어져서 1년 기다렸다가 촬영했다.

-‘수탁’이라는 캐릭터는 어떤 캐릭터인가.

‘수탁’을 연기하다 보니 ‘수탁’을 응원하게 된다. ‘수탁’이 조금 야한 말도 하고, 여자를 좋아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본질적으로 따지자면 여성에 대한 욕망이나 욕구라기보다는 자신의 처지를 벗어나고자 하는 몸부림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에 대한 사랑의 이야기가 기승전결로 전개되지 않은 것도 이 친구가 ‘용기를 갖고 싶다’ 이런 감정의 흐름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여성을 어떻게 하고 싶다는 본질적인 의미는 아니었던 것 같다.

-친한 신하균, 오만석 배우와 케미는.

신하균씨는 어릴 때부터 알고 지냈다. 둘 다 비슷한 지점이 있었다. 내성적이고 자기주장을 별로 안 하는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서로 맘 터놓고 얘기할 기회는 없었는데 이번 작품 촬영을 위해 제주도에서 몇 달간 있으면서 서로 얘기를 많이 나눴다. 신하균이 내성적이지만은 않다. 밝은 면도 있고 유머러스한 면도 있고 새로운 면을 발견했다.

오만석씨는 뮤지컬에서 같이 작품을 했기 때문에 어릴 때 내 모습을 안다. 여러 가지 다재다능한 친구다. 어린 시절에 알다가 한동안 뜸했다가 다시 만나 새로웠다. 친분이 있던 친구를 더 서로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됐다.

▲ 영화 ‘올레’의 주연 배우 박희순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천지일보와의 인터뷰 전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소가 갑자기 등장하는 부분은 설정인가.

올레길을 걷는 동선을 만들어 놨다. 여기선 거미가 내려오니까 나무 헤치고 모기약 뿌리고 지나가려고 하는데 소들이 등장하더라. 치울까 말까 하다가 헤치고 지나가는 것으로 하기로 결정했다. ‘소리 질렀을 때 달려들면 어떻게 하지?’ 하고 겁도 났지만 일단 해보자고 생각했다. 또 온통 소똥 밭이었다. ‘야. 저리가!’ 하니까 그 수많은 소가 도망가더라.

-평소 일탈을 즐기는 편인가.

용기가 없어서 잘 못 하는 편이다. 좋아하는 사람한테 고백을 잘 못 하는 사람인데 일탈을 꿈꾸기 쉽지 않다.

‘중필’이만 보더라도 사랑했더라도 자신감이 없어서 놓쳤다. 과거 장면에서 보면 ‘수탁’이라는 친구도 사실 같은 여자를 좋아했음에도 고백하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는 설정이 있었다. 그 장면이 빠지면서 천방지축이 됐는데 자신감과 용기가 없던 부분이 나중에 트라우마로 자리 잡았고 이를 벗어나려 일탈한 것 같다. 자기 자신을 힐링하는 것 같다.

-같은 세대에 하고픈 말.

영화 캐릭터 3명은 20, 30, 40대 모두가 가진 고민을 하고 있다. 자기가 뭘 해야 할지 모르는 정체성을 고민하는 사람. 일자리에서 잘릴 위기에 있는 그런 친구들. 사고나 지병에 의해 몸이 아픈 친구. 그런 것은 공통적으로 연령 성별 상관없이 가진 문제다. 그런데 앞만 보고 달리다 보니까 어느 순간 자신이 선택의 기로에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잘 모른다. 나는 어떤 위기에 부딪혔는지 다른 올레길은 어떤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