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북구 보건소. ⓒ천지일보(뉴스천지)

보건소 대표전화 근무시간 외 불통… 업무과실 인정
광주 북구청, 식중독 근원 문제의 식당 봐주기 의혹

[천지일보 광주=이미애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나지 않은 가운데 광주시 북구 보건소의 질병관리 체계가 우왕좌왕 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시 북구 보건소는 114 안내나 보건소 홈페이지에 대표전화를 운영하고 있는데 어찌된 일인지 근무시간 후에는 전화연결이 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민원인들이 식중독이나 질병발생 우려에 대한 신고를 제때에 할 수 없다.

실제로 지난달 5일 오후 6시 북구 한 식당에서 식사를 한 가족 중 6명이 설사와 구토증상을 보이고 그중 2명이 6일 식중독 증세로 병원진단을 받고 광주시 북구 보건소에 전화를 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지난해 우리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줬던 메르스 사태의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초동대응에 실패, 메르스 환자를 격리시키지 못한 것이 원인인 것을 생각할 때 광주시 북구 이번 사태는 질병관리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북구 보건소 질병관리담당자는 “휴일에도 24시간 상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착신을 해 놓는 것이 원칙”이라며 “담당직원이 퇴근할 때 대표전화 착신을 하지 않아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며 자신들의 업무과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광주시 북구 질병관리 대책은 전화 불통만이 아니었다. 질병관련 의심이 접수되면 보건소는 즉각 관련 식당이나 관련 환자들을 대상으로 가거물을 채취 식중독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북구 보건소는 이에 대한 조처를 취하지 않고 안일한 대응을 보였다. 북구청 관계자는 “우리는 할 수 있는 조치를 다 했다”며 “식당 기자재 8종류에 대해서 광주 보건환경연구원에 식중독 균 여부를 확인했으나 아무런 균이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더구나 본지 확인결과 8종류에 대한 식중독 균 여부 신청자가 보건소가 아닌 식당주인으로 밝혀져 관련 식당 봐주기가 아니냐는 의혹도 낳고 있다.

현행 식중독 관련 지침에는 식중독 의심이 신고 되면 해당 보건소는 즉각 발생현장으로 출동 보건소 직원이 직접 식약청에서 규정한 18가지에 대해 보건소 검사와 더불어 각 광역단체 환경보건연구원에 의뢰 식중독 균 검사를 하도록 돼 있다.

피해자 A씨는 “식당주인이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들춰 낼 수 있는 정확한 검사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이번 북구청의 안일한 업무 처리는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격으로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