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동욱 소장, 4가지 가능성 제기
기존 성벽 대비 약 3배 정도 길어
시, 별도 예산으로 현황조사 예정

거제시 둔덕기성에서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이 아닌 새로운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사진은 나동욱 소장이 드론으로 촬영한 모습.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거제시 둔덕기성에서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이 아닌 새로운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사진은 나동욱 소장이 드론으로 촬영한 모습.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천지일보 거제=윤선영 기자] 거제시 둔덕기성에서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이 아닌 새로운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나동욱 영남성곽연구소 소장과 거제역사문화연구소는 지난 1일 현장조사를 통해 국가 사적 둔덕기성이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만이 아닌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거제시는 문화예술과 문화재팀장 외 2명이 지난 8일 현장 조사를 통해 토성의 흔적과 범위를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일부 성곽 연구자와 둔덕면민들은 둔덕기성에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지속 주장해왔다. 지난달 14일 거제시 100년추진단에서 진행한 100년거제디자인 비전 수립 세미나에 제1발표자로 나선 나동욱 소장은 60년대 항공사진을 통해 둔덕기성에 토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다시 한번 제기했다.

나동욱 영남성곽연구소 소장과 거제시 문화재 팀장 등이 지난 8일 현장조사를 통해 토성의 흔적을 확인하고 있다.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나동욱 영남성곽연구소 소장과 거제시 문화재 팀장 등이 지난 8일 현장조사를 통해 토성의 흔적을 확인하고 있다.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이에 현재 시민숙의단에 소속돼 있는 김의부 소장 등 거제역사문화연구소 회원들은 사전답사를 통해 토성의 존재를 확인했고 성곽 전문가인 나동욱 소장의 현장조사를 통해 정확한 토성 흔적과 범위가 확인된 것이다.

토성구간은 둔덕기성 남쪽에서 석축성곽에 인접해 시작하는 것으로 보이며 일부 구간에 임도가 개설되면서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 구간이 있지만 너비 10m, 높이 약 2.5~3m(최대 5m)로 양호하게 잔존하고 있었다. 토성의 내벽을 따라 배수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너비 약 3m의 구를 비롯해 너비 5m정도의 추정 남문지도 확인됐다.

석성구간도 확인됐는데 석성의 너비도 5~6m정도이며 외벽은 대부분 무너지고 일부 구간에서는 거제 둔덕기성의 고려시대 수축구간과 유사한 형태로 너비 5m정도의 추정 북문지도 발견됐다.

거제시 둔덕기성에서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이 아닌 새로운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사진은 나동욱 소장이 제공한 지난 1967년 당시 둔덕기성 주변 항공사진.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거제시 둔덕기성에서 기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이 아닌 새로운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사진은 나동욱 소장이 제공한 지난 1967년 당시 둔덕기성 주변 항공사진. (제공: 거제시) ⓒ천지일보 2024.03.11.

이번 조사를 한 나동욱 소장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새로 확인된 성벽은 전체 둘레 약 1.4㎞(토성 약 450m, 토석혼축 포함 석축성 길이가 약 950m)로 확인돼 현재 지정된 거제 둔덕기성의 길이인 526m보다 약 3배 정도 긴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초축된 삼국시대 성은 내성, 1차 확장된 고려시대 성은 중성, 금번 확인된 구간을 외성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네 가지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먼저 거제문화원에서 발간한 ‘거제지명총람’(1996)을 근거로 고려 성종 14년(995) 기존 거제현의 치소였던 둔덕기성을 확장해 왜구의 침입을 대비하고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확장했을 가능성, 두 번째로는 고려 의종 24년(1170) 무신의 난으로 의종이 거제도에 유폐된 사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 세 번째로는 고려 원종 12년(1271)과 13년(1272) 삼별초의 거제도 공격과 관련한 대피처였을 가능성, 마지막으로 조선 세종 1년(1419) 이종무의 대마도정벌 시 정벌군 집결처인 거제도 내 주둔처의 목적으로 축조됐을 가능성이다.

이러한 추측은 현재 발굴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정밀 지표조사와 시굴 또는 발굴조사를 통해 시기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측이 가능한 상황이다. 향후 거제시는 국도비 지원이나 별도의 예산을 마련해 현황조사를 실시해 성곽의 정확한 축조수법과 축성시기, 성격 등을 규명해 나갈 예정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경우 문화재 구역 확대 및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