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유형문화재 지정 3건, 문화재자료 1건 지정
17세기 불상조각의 뛰어난 명장, 현진스님의 작품 등

양산 내원사 조계암목조관음보살좌상. (제공: 경남도)ⓒ천지일보 2024.02.29.
양산 내원사 조계암목조관음보살좌상. (제공: 경남도)ⓒ천지일보 2024.02.29.

[천지일보 경남=이선미 기자] 경상남도가 29일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 일괄과 김해 해성사 묘법연화경 권4∼7, 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 3건을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진주 최대성 정려 현판 일괄을 문화재자료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 일괄은 1628년(인조 6년) 현진(玄眞)이 주도하고 7명의 조각승이 참여해 완성한 불상으로 단단한 체형과 알맞은 균형미, 넓적한 얼굴에 평면적인 이목구비, 부드러운 인상, 숄형의 천의를 입은 착의법, 간결하고도 입체적인 옷주름 등이 주된 특징이다.

현진(玄眞)은 17세기 불교 조각사를 대표하는 조각승으로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1607년) 등 다수의 작품이 보물로 지정돼 있다.

이 불상은 현진이 제작한 불상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조성연대, 봉안처 등이 정확해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조각승과 계보, 양식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준작이며 17세기의 뛰어난 명장 ‘현진’의 조각적 특성도 잘 보여주고 있어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있다.

김해 해성사 묘법연화경 권4〜7은 1399년 남재(南在, 1351∼1419)가 쓴 발문을 붙여 간행한 것으로 작은 글자로 정교하게 새긴 목판본이다. 이 발문에 의하면 도인 해린(海隣)이 송나라 계환(戒環)의 주해본을 입수한 뒤 정천익(鄭天益), 이양(李穰) 등 여러 관리와 군인 그리고 백성들의 시주와 도움을 받아 1년간 작업해 간행한 것이다.

묘법연화경 권4∼7은 비록 낙질이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흔하지 않은 1399년 남재 발문과 간행 서지 정보 등이 남아 있어 조선 초기 묘법연화경 판본의 이해, 단월(檀越) 등 불교사·서지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단월(檀越)은 사찰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푸는 불교신자를 말한다.

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권수제). (제공: 경남도)ⓒ천지일보 2024.02.29.
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권수제). (제공: 경남도)ⓒ천지일보 2024.02.29.

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합부)은 총 6개의 경전을 모아 1467년 간행된 경전으로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 2장, 불설고왕관세음경(佛說高王觀世音經) 5장,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經) 15장, 불설북두칠성연명경(佛說北斗七星延命經) 5장, 삼십분공덕소경(三十分功德疏經) 8장, 불설연수신왕호신경(佛說延壽神王護身經) 2장, 허적(許迪)이 쓴 발문 1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조선 초기에 간행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장수와 연명(延命)을 기원하기 위해 편찬한 것으로 이 경전을 늘 지니고 독송(讀誦)하면 재난을 피할 수 있다는 기원을 담고 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 불교 경전의 초록과 편찬, 간행과 유통을 이해할 수 있는 희귀한 판본이다.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진주 최대성 정려 현판 일괄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전라남도 보성 출신의 무신인 ‘최대성(崔大晟, 1553~1598)’의 정려각에 걸려있는 현판이다.

최대성은 훈련원정(訓鍊院正)으로 이순신 장군을 따라 남해의 여러 전투에 참전해 공을 세웠으나 1598년 보성의 안치전투에서 전사했으며, 사후 156년만인 1752년(영조 28년)에 정려(충신, 효자, 열녀 등을 그 동네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가 내려져 전라남도 보성에 정려각이 세워졌다.

이후 1890년(고종 27년)에 진주의 현재위치로 이건 됐으며, 정려각 내에 1752년 내려진 정려 현판 1매, 최대성의 가계, 임란시기 전공, 정려가 내려지는 과정 등이 기록된 정려기 현판 1매, 1890년 후손들이 중심이 돼 보성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게 된 경위가 기록된 정려이건기 현판 1매 그리고 1917년 정려각의 보수공사 내용을 기록한 중수모와기 현판 1매로 총 4매가 보존되고 있어 정려가 세워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과정이 기록된 현판이 모두 보존되어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

이정곤 경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이번에 도 문화재로 지정된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 일괄 등 4건에 대해 해당 시군,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적극적으로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굴해서 모든 도민이 문화유산을 향유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