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 (출처: 연합뉴스)
라임자산운용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금융감독원이 ‘3대 사모펀드 환매 사태’와 관련 추가 검사 결과를 발표한 이후 여의도 증권가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펀드 판매사들의 특혜성 환매 의혹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이례적인 동시다발 수사 및 검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혜 환매 의혹 대상에 야당 국회의원이 얽히면서 증권사들이 조사 선상에 오르자 다른 목적을 위해 잦은 수사와 검사에 나서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10대 대형 증권사 모두 검찰의 압수수색, 금융감독원의 검사,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등을 겪었다.

조사 사유는 2019년에 발생한 라임펀드 환매 사태부터 국고채 입찰 담합 의혹, 채권형 랩·신탁상품 불건전 영업 관행,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발 주가폭락 사태 등이다.

이러한 가운데 라임 사태가 다시 수사선상에 오르면서 업계 피로감이 고조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단성한 부장검사)는 지난달 31일 특혜성 환매 의혹에 연루된 미래에셋·NH투자·유안타증권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들 증권사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에 라임 펀드를 판매한 판매사로 알려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은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지기 전인 같은해 8∼9월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자금으로 특정 4개 펀드 투자자에게 환매를 해줬다. 4개 펀드 투자자에 김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 등 유력인사와 법인이 포함돼 있어 특혜성 환매 의혹이 제기됐다.

금감원도 지난달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필요에 따라 다른 판매사로 검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다수 주요 증권사는 지난 6월부터 지난달까지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현장 조사를 동시에 받은 상황이다.

공정위는 국고채 입찰 담합 의혹과 관련해 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KB·삼성·키움·메리츠·대신·신한투자·교보·DB금융투자 등 증권사와 금융투자협회를 현장 조사했다. 국고채 전문 딜러(PD)로 지정된 이들 증권사가 국고채 입찰 참여 과정에서 부당하게 정보를 교환하거나 담합했는지를 본 것이다.

비슷한 시기 금감원도 채권형 랩·신탁상품 불건전 영업 관행과 관련해 지난 6월부터 지난달까지 주요 증권사들을 상대로 조사했다.

사실상 증권업계 전체가 검찰 수사와 금감원 검사망에 휩싸여 있는 셈이다.

특히 업계 내부에선 이번 라임펀드 재조사를 놓고 특정 목적에 의한 것이 아니냐며 불편한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라임사태 재조사 상대가 된 NH투자증권과 KB증권, 대신증권은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금융위원회 제재를 마지막 절차로 앞두고 있어 조만간 나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감원은 앞서 제재심의위원회에서 박정림 KB증권 사장,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에 대해 문책 경고 처분을 내렸다.

이러한 가운데 펀드시장 위축이나 투자상품의 자기 책임 원칙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투자자들이 손실 위험을 수반한 투자상품 책임 여부를 판매사에 돌리고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만연한 만큼, 증권사들이 펀드 판매를 축소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