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낙하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다. 사진은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 2023.6.16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낙하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다. 사진은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 2023.6.16

[천지일보=강수경, 김성완 기자]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이 전북 군산 서방 240여㎞ 수중에서 인양한 북한 우주발사체(천리마) 2단부에 대한 공동 기술 분석에 착수했다.

16일 해군 작전사령부 화력참모처장 정종구 대령은 평택항 광양함 함상에서 진행된 북한 우주발사체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 경과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공동 분석은 한국 측에서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해군, 국방과학연구소(ADD) 등 소속 전문가들이 나선다. 미국 측에서는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등 다양한 기관의 요원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미 DIA는 적성국의 미사일과 로켓 등 실물 분석(MASINT)을 전담하는 ‘측정정보기술수집부’ 등이 있다. DIA는 과거 북한의 장거리 로켓 ‘은하 3호’와 ‘광명성호’ 분석에도 참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합참은 서해에 추락한 북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를 전날 오후 8시 50분쯤 인양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발사체를 식별한 뒤 보름 만에 인양에 성공한 것이다.

군은 해당 부분이 우주발사체의 2단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이 탑재했다고 주장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포함한 1·3단부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했다.

군이 발사체 인양에 보름이나 걸린 건 발사체 잔해 중량이 무거웠을 뿐 아니라 원통형이라 강철 고리를 연결하기가 까다로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천리마 1형의 전반적인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한미는 지난 2∼4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를 공동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12년 12월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 장거리로켓 은하 3호 잔해 조사 때도 한미 공동조사단이 구성된 바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