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퇴미산 건물지
퇴미산 건물지

정상 부위에 마련한 건물지

중국 요녕성이나 북한 지역에 남아있는 고구려 성은 대부분 포곡식 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백제 지역을 정복한 이후에는 백제식 테메식 기초 위에다 고구려식의 보축을 통해 방어 기능성을 더욱 공고히 했다. 바로 진접 퇴메식 성과 같은 구조를 말한다. 고구려성은 성벽과 성문, 장대, 치와 성가퀴, 수원시설, 수구문과 배수구, 기타 건물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구려 성의 구조는 견고한 성벽을 쌓는 축성법과 더불어 고구려성의 강력한 방어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성문은 외부와의 통로로 적의 공격이 집중되기 쉬운 곳이다. 그래서 고구려는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성문 주위의 성벽을 특히 높고 견고하게 구축했으며, 성문 주위의 성벽을 어긋나게 쌓거나 U자형으로 들여쌓기도 했다.

고구려성은 성벽에 여러 곳 능선에 인위적인 장대(將臺)를 축조했다. 성안에서 가장 높은 곳이나 정문 근처에 설치했으며, 성 밖을 감시하는 초소인 망대는 성벽 곳곳 전망이 좋은 곳에 설치했다.

군사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이는 건물터는 통상 성벽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마련했다. 대부분 층단형의 석축 가까이 두고 있는데 적들이 올라오는 것을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고구려 산성의 경우 수량이 풍부한 계곡을 끼고 있거나 저수지와 우물, 혹은 빗물 저장시설이 빠짐없이 발견되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성벽이나 성문 아래 성안의 물을 내보내기 위한 배수구도 설치됐다.

진접 퇴미산성은 석축성 정상 부위에 넓은 건물지를 배치한 흔적이 보인다. 이는 서울 금천구에서 조사한 호암산성의 예와 흡사하다. 건물지에는 덤벙 주초석과 나무를 심기 위해 파헤친 곳에 와편이 산란하고 있다.

1. 기와장의 얼굴인가. 사람의 얼굴처럼 새겨진 삼국시대 평와편 2. 퇴미산 정상 건물지에서 수습된 고구려 승문 평와편 3. 퇴미산 성터에서 수습된 적색과 태조의 선문 고구려 평와편
1. 기와장의 얼굴인가. 사람의 얼굴처럼 새겨진 삼국시대 평와편 2. 퇴미산 정상 건물지에서 수습된 고구려 승문 평와편 3. 퇴미산 성터에서 수습된 적색과 태조의 선문 고구려 평와편

적색와편의 수습

지금까지 남한 지역 30여 곳의 유적을 조사하면서 적색의 고구려와편을 수습하지 못한 곳은 손으로 꼽을 정도이다. 최남단인 단양 죽령고개를 위시해 경북 영주시 순흥 고구려 성지유적에서도 적색 와편을 수습했던 것이다.

가장 많은 고구려 와편을 조사한 유적은 춘천 봉의산성이었다. 등산로에 널려 있는 와편은 이 성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귀중한 사료였다. 장대한 석축과 토성의 유구 그리고 산 정상의 고구려 명문 암반과 제사 유적은 지금까지 조사한 고구려 유적 가운데 가장 큰 수확이었다.

또한 안장왕과 한주미녀의 설화가 어린 고양시 고봉산 유적에서도 완전한 고구려 승석문, 격자문, 사격자문의 적색 평기와가 수습됐다. 고봉산 안의 추정 건물지에서도 매우 다양한 무늬의 적색 와편이 찾아져 조사단을 흥분시키기도 했다.

조사단은 퇴미산성 건물지에서도 백제계 유백색 와편과 고구려 적색 와편을 많이 수습했다. 산성의 정상 부위에서 남쪽 아래로 석축 따라 내려가면서 와편이 산란하고 있다. 삼국시대 이 성을 두고 각축했던 역사의 흔적들이다. 굵은 선조문, 승석문, 사격자문 등 전형적인 문양이 나타나고 있다.

기와 장인이 연장으로 장난삼아 만들었음직한 얼굴상 와편도 수습되었다. 입술 모양으로 보아 약간 분노에 찬 얼굴이다. 기와를 만들면서 고역에 시달리는 침통한 심경을 표현한 것일까. 세장한 선조문의 통일신라 와편과 고려시대 와편도 찾아진다. 그러나 조선시대 와편은 찾지 못했다. 이를 보아 이 성이 고려시대까지 이용됐음을 알 수 있다.

퇴미산 고구려식 성벽의 흔적
퇴미산 고구려식 성벽의 흔적

퇴미산성에 대한 관심과 확대 조사를

경기도내 많은 성지 유적 가운데 아직 확대된 조사를 하지 않은 곳이 많다. 강원도의 경우는 더욱 많이 있다. 퇴미산 풍양고성은 분명 고구려 골의내현이라고 명명된 중요한 유적이다.

현재 남아있는 옹성 유적만을 봐도 확대된 조사가 필요하다. 땅속에 묻힌 석축 그리고 당시 사용했던 고구려 와편들이 햇빛을 찾아야 한다. 이 같은 옹성 유적이 조사된 곳은 강원도 양구 비봉산 유적이다. 양구에서도 고구려 요은홀차(要隱忽次) 명문 와편 조각을 찾았다. 양구 비봉산성유적은 광개토대왕 비문에 기록된 윤노현(閏奴縣)으로 비정되는 곳이다.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이 1차 지표조사만을 하고 단체장이 바뀌는 바람에 추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원은 성의 중요성을 들어 계속적인 발굴사업을 군청에 건의하고 있다. 비봉산성도 진접 퇴미산성과 같이 백제식 테미산성에다 고구려 지배 이후 석축으로 보축한 성으로 능선을 낀 포곡성이 매우 주목되는 유적이다.

진접 퇴미산성은 마한백제 시기부터 이곳을 지켰던 이들이 생거한 곳이다. 특히 고구려는 이 일대를 중시하여 ‘골의내’라고 하였으며 석축을 쌓고 중요 거점을 삼았다. 현재 퇴미산 곳곳에 남은 석축이 이를 잘 알려준다.

고구려 현(縣)의 이름이 아직도 존재하고 있는 남한 지역의 산성 유적은 확대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중국이 동북공정으로 고구려사를 지방사로 편입하려는 획책에 대응하는 노력의 일환이 돼야 한다.

어느 지역인가에는 위대했던 고구려 문화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고구려 박물관도 건립됐으면 하는 소망을 가져본다. 모든 국민들의 열망인 고구려역사박물관을 갖지 못한다는 것은 문화적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