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차원 교육 필요… 연령대 맞게 시행해야”

[천지일보=김민아, 이혜림 기자] 눈앞에서 304명의 고귀한 생명을 바닷속으로 떠나보낸 지 1년이 지났다. 제대로 된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아이들은 ‘가만히 있으라’는 세월호 선장의 말만 믿고 구조의 손길을 기다렸다. 그러나 아이들은 영영 우리 곁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학교 등에서 아동복지법에 따라 연간 총 44시간의 안전교육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매뉴얼 중심의 이론적이고 실적 위주의 형식적인 교육은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사고 이후 교육부는 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생활안전, 응급처치, 교통안전, 재난안전, 약물사이버, 직업안전, 폭력안전 등 7대 표준안을 보급했지만, 별다른 매뉴얼도 없고 51시간의 수업시수를 채우는 것도 현실상 어렵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A중학교 선생님은 “반별로 돌아가면서 체육 시간에 외부 강사를 초빙하거나, 수학여행 등 외부활동 전에 동영상 및 유인물을 이용한 안전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며 “선생님들도 안전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교과서 등 정확한 매뉴얼 없이 안전교육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그는 “사건이 터질 때마다 교육부에서 급조하는 교육이 너무 많다. 사건에 휘둘리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며 “창의력 재량시간이 총 102시간인데 이를 이용해도 교육부에서 요구하는 교육을 모두 수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안전교육 표준안의 내용이 부실하고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B고등학교 선생님은 “세월호 사건 직후 표준안이 급하게 만들어진 티가 난다. 관련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단순 붙여넣기 한 것도 있다”며 “체계도 잡히지 않은 것을 무조건 학교 현장에 떠넘기고 있다”고 말했다.

재난 전문가도 실효성 있는 재난위기 대응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헌 재난안전원 원장은 “사고 이후 전국에서 우후죽순으로 누구나 안전교육을 한다고 나오고 있다. 하지만 재난이라는 개념은 단순하게 생각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안전교육은 일이 터지고 나서 대응하는 게 아니라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형식적·지역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연령대에 맞는 교육과정을 만들어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일본 후쿠시마 지진해일이 왔을 때 그 지역의 초·중·고 학생들은 인명피해가 없었다”며 “일본은 지진·태풍 등 재난 풍수해가 많아 항상 국민들이 목숨을 지키기 위해 훈련을 하고 교육을 받는 데, 학생들도 교육의 효과로 모두 높은 지대로 대피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처를 신설하고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범국민 안전교육 진흥을 위해 안전교육진흥 기본법(가칭) 제정을 추진하고, 국민 연령·특성을 고려한 ‘생애주기별 평생안전 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