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성장과 기업 그리고 삶을 말하다 (7)

최근 세계 곳곳에서 ‘탄소제로 도시’ 건설 바람이 불고 있다. 탄소제로도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0’인 도시를 말하며 선진국에서는 도심 재개발지역, 개발도상국과 중동에서는 신도시 개발지역에 탄소제로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탄소제로 도시가 생겨나게 된 배경에는 지구온난화가 있다. 지난 9월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온실가스 80% 이상이 도시에서 발생하며, 특히 교통과 주택 등 도시 생활관련 부문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43%를 차지한다고 한다. 따라서 온난화 방지를 위해 각 나라에서는 탄소제로 도시를 조성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것이다.

탄소제로 도시는 온난화 방지를 위한 목적 이외에도 녹색산업 주도권 강화, 도시경쟁력 제고, 친환경 이미지 제고 등의 목적이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50만㎡에 약 2만 500명의 인구가 사는 신도시에서 탄소를 70%를 줄일 경우, 탄소배출권 수익 등으로 연간 3420억 원 경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세계 각국이 건설 중인 ‘탄소제로 도시’. ⓒ천지일보(뉴스천지)

현재 탄소제로 도시 건설이 활발한 곳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수도 아부다비 인근이다. 이른바 ‘마스다르 프로젝트’라 불리는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이산화탄소, 쓰레기, 화석연료, 자동차가 없는 ‘4무(無)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에 지난해 UAE 정부는 220억 달러를 들여 신재생에너지로만 전기를 공급하는 탄소제로 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건물은 단열을 강화하고 자연채광과 자연통풍을 확대하며 LED 조명을 설치한다는 방안이다. 이렇게 통풍이 잘 되고 그늘이 있는 탄소제로 건물은 열섬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교통 부문은 내연기관 자동차 운행은 금지하고 전동 PRT(개별고속교통기관) 시스템, 태양광 자동차, 경전철 등 청정 교통수단을 이용토록 장려하고 도시 간선도로 폭을 10m로 제한키로 했다.

에너지 부분에 있어서는 100% 재생 에너지만을 사용토록 한다는 목표 하에 에너지 공급비율을 태양광 52%, 태양열 26%, 진공 집열기 14%, 폐기물 에너지화 7%, 풍력 1%로 설정했는데, 현재 1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이미 가동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중국도 오는 2050년까지 상하이 인근 총밍섬에 탄소제로 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동탄 프로젝트’는 인구 50만 명을 수용하는 탄소제로 도시를 건설한다는 장기 프로젝트다. 상하이시는 전체 부지 86㎢의 신도시 중 40%는 도시로 개발하고, 나머지는 농업 및 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하거나 습지 상태로 유지할 계획이다.

옥상 녹화,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환경·에너지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이산화탄소 배출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상하이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물 부문에 있어 모든 건물을 8층 이하로 건설하고 단열·방음·수자원 재활용을 위해 지붕은 모두 잔디와 녹색식물을 이용하는 방안을 추진해 주목을 받고 있다.

교통 부문에 있어서는 가솔린 자동차 대신 탄소제로 자동차, 연료전지 등을 사용하는 무공해 버스, 수상택시 등 친환경 자동차 운행만 허용하고, 가솔린 오토바이 대신 전기 스쿠터나 자전거를 타도록 장려한다. 이 동탄 프로젝트는 중국이 ‘환경오염이 극심한 국가’ ‘세계 제1의 탄소배출국’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씻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본, 캐나다, 덴마크 등도 탄소제로 도시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종시, 마곡지구, 무안 기업도시 등 계획도시들이 대부분 탄소제로 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또 과천 등 기존 도시들도 탄소저감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세종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지자체 또는 개발 주체 차원에서 진행돼 국내 실정에 맞는 도시 모델이 없는 상황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이안재 수석연구원은 “한국형 탄소제로 도시를 개발하고 이를 수출상품으로 육성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