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접촉점 커질 듯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3년 4개월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도 이목이 쏠린다.

남북이 지난 1·2차 고위급 접촉을 통해 대화의 물꼬를 튼 만큼, 이번 이산상봉을 고리로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 이산상봉 행사를 정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치·군사적인 상황과 상관없이 이산상봉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화상상봉이나 편지교환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계속 흘러나온다. 이번 이산상봉 행사를 보더라도 부모와 자식 간의 상봉보단 형제와 친척 간의 상봉이 늘었다. 그만큼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심각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현재 이산상봉 신청자의 평균연령은 80세에 달한다.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일 보고서를 내고 “2013년 현재 이산가족 생존자의 52.8%(3만 7769명)가 한국 평균기대 수명(81세)보다 고령”이라면서 “북쪽 가족을 상봉할 수 있는 시간이 한계에 다다랐다”고 분석했다.

여야 정치권도 이산상봉 정례화를 촉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어렵게 마련된 기회인 만큼, 소중한 만남이 되길 기원한다”면서 “정부는 상봉 정례화에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산가족에겐 남은 시간이 별로 많지 않다”면서 상봉 정례화와 대규모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산상봉 이후 남북 간의 대화는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 남북은 상호 관심사를 계속 논의할 고위급 회담을 편리한 시기에 열기로 합의한 바 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이산가족 상봉이 끝나면, 우리 쪽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고, 북한은 금강산 관광을 적극적으로 주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북한은 무엇보다 금강산관광 재개와 5.24제재 조치 해제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 정부도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조성과 남북 정상회담 등을 주요의제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집권 2년 차를 맞은 박근혜 정부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대북정책의 핵심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시동을 걸겠다는 구상이다. 결국 1·2차에 걸친 이산상봉 이후 남북관계에 대한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