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대출 규모만 45.5조
금감원, 불안 확산방지 총력

image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사진은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 건축 현장의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 잔액이 1조원을 웃돌고 있다. 금융당국은 아직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라면서도 사태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건설사들이 미분양 등을 이유로 시공에서 발을 뺄 경우 금융권까지 부실 여파가 확산할 수 있어 부실 관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카드사 제외)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1조 1465억원이다. 지난 2021년 말 4838억원보다 2.3배 늘어난 액수다. 통상 금융당국은 향후 부실 발생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대출 연체 잔액을 주요 지표로 활용한다. 

PF 대출 규모가 가장 큰 업권은 보험사로 PF 연체액은 1767억원이다. 보험사의 PF 대출 규모는 45조 4906억원이다. 보험사의 PF 연체액은 최근 수년간 수백억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금리인상 기조가 본격화하면서 1천억원대로 늘어났다. 

PF 연체액이 가장 많은 곳은 증권사로 3638억원이다. 연체율은 8.2%로 가장 높다. 

금감원에 따르면 증권사의 경우 PF 대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사업장 1~2곳만 부실이 발생해도 비율이 오르게 된다. 금감원은 비율이 상승 추이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지만 아직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의 PF 연체액은 약 3천억원, 캐피탈은 2902억원이다. 연체율은 각각 2.4%, 1.2%다.

PF 연체액 규모가 늘어남에 따라 건설경기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다만 금감원은 PF 연체액 규모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라며 과도한 우려에는 선을 긋고 있다. 

금감원은 부동산 불안이 금융시장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부동산 PF 관리 체계를 사업장 단위로 개편한다. 앞서 개별 금융권역별로 관리돼온 구조를 개선해 주택, 상업용 시설 등 PF 개발사업 유형과 공정률 등 진행 상황에 따라 구분하고, 정밀 분석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단계별, 투자 형태별 리스크 특성을 순자본비율(NCR) 위험값에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는 증권사들이 부동산 PF 부실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조처다.

금감원은 부실 PF 사업장의 자율적인 정리를 유도하는 PF 대주단 협의회 출범도 지원하고 있다. 건설사들이 수익성을 이유로 시공권을 포기할 경우 해당 사업장에 투자했던 금융사들도 큰 타격을 받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울산 동구의 한 주상복합 개발사업을 두고 대우건설이 시공권을 포기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융권도 PF 부실 우려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개발사업에서 시공사가 발을 뺄 경우 사업 자체가 휘청거려 시행사 도산 및 금융사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무위원회 소속인 윤창현 의원은 “금융 전업권의 부동산 PF에 경고등이 켜졌다”며 “금융당국은 사업장 단위의 정기 점검을 통해 정상 PF에는 원활한 자금지원을, 부실 PF는 자산 매입을 지원하는 등 맞춤형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건설 #PF #부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