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제마 출토… 고구려 역사박물관 만들었으면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가평 현리산성. 장방형의 돌을 벽돌처럼 잘 다듬어 들여쌓기로 구축한 모습이 고구려 축성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백제 ‘복사매’ 고구려 심천현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은 본래 백제의 고읍 터였다. 백제인들은 이곳을 ‘복사매(伏斯買)’라고 불렀다. 복사매란 무슨 뜻일까. 고대의 글자 ‘사(斯)’는 살과 비슷하다. 충북 괴산군 청천의 ‘살매현’은 한자로 청천(靑川)이라고 표기된다. 

고구려는 훗날 복사매를 백제로부터 빼앗아 복사홀(忽) 혹은 심천(深川)이라고 불렀다. 복은 깊다는 뜻인가. ‘깊은 내’는 백제의 복사매를 고구려식으로 부른 것일 게다. 오늘날 이름인 조종현(朝宗縣)은 고려 시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동국여지승람> 건치연혁 속현(屬縣)조에 다음과 같이 기록된다. 

“현(가평) 서쪽 45리 지점에 있다. 본디 고구려 심천현인데 복사매라 하기도 한다. 신라에서 준천이라고 고쳐서 가평군 속현으로 만들었고 고려에서 지금의 명칭으로 고쳤다.”

조종현에 고구려 유적이 존재하고 있을까. 한국역사유적연구원은 조종현에 있는 현리산성을 주목한 바 있다. ‘현리’라는 지명은 ‘현(縣)’ 치소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산성은 별로 알려지지 않은 유적이다. 그런데 산성을 소개하는 인터넷 블로그에 매우 주목되는 자료가 실려 있다.

허물어진 성터를 찍어 올린 산성 사진에서 정연한 벽돌처럼 다듬은 석축들이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 사진은 곡성(曲城) 형태를 이루고 있다. 고구려 산성 유적에서 흔히 보이는 형태의 굽은 성이다. 그리고 하나의 사진은 바로 하늘에 제사 지낼 때 사용했던 여러 점의 토제마(土製馬) 사진이었다. 

한 가지 주목되는 것은 바로 모두 목이 잘린 토제마들이었다. 이런 토제마들은 주로 산성 유적에서 많이 발견된다. 고대 사람들은 처음에는 말을 죽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다가 나중에는 토제 혹은 철제마를 만들어 대신 제물로 사용했다. 이런 유물이 출토된 것을 감안하면 이 산성은 매우 주목되는 것이다.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은 지난 4월 8일(2022년 당시) 현리산성을 답사했다. 봄이 무르익어가는 산야에 진달래가 만발하여 답사반을 사로잡는다. 맑은 조종천 변의 버들가지도 금방 터질 듯 물이 올랐다.

조종천이 주위를 감싼 현리산성 안에는 어떤 역사의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이곳에서도 춘천 봉의산성처럼 숱한 고구려 적색와편을 수습할 수 있을까. 

image
현리산성 정상 부위에서 출토된 토제마

현리산성이 구축된 산은 ‘비랑산’인가

가평군 일대는 비교적 높은 산이 많이 있다. <여지승람> <대동지지>를 통한 주요 산 이름을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

“화악산(花岳山) 현 북쪽 30리 지점 / 운악산(雲岳山) 현 서쪽 60리 지점 /

청평산(淸平山) 현 동쪽 춘천 경계 / 가주지산(加注之山) 현 서쪽 59리 지점 /

소의산(所衣山) 현 서쪽 59리 지점 / 비랑산(非郞山) 현 서쪽 43리 지점 /

은두정산(銀頭頂山) 현 서쪽 35리 지점 / 청송산(靑松山) 현 서쪽 25리 지점 /

어리내산(於里內山) 현 남쪽 62리 지점”

그런데 정작 현리산성이 있는 곳의 산 이름은 지도상에는 남아 있지 않다. 분명 이름이 존재해야 할 데가 빠진 것이다. 그런데 <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같은 거리의 산 이름이 보인다. 

“비랑산(非郞山) 현 서쪽 43리 지점에 있다.”

조종현이 가평현에서 서쪽 45리 지점에 있다는 <여지승람>의 기록을 감안하면 산성이 구축된 산 이름이 비랑산인 것이다. 왜 비랑산이라고 했으며 이 이름이 사라진 것일까. 백제, 신라 구토에는 비랑산이란 이름이 많이 등장한다. 부여 인근인 논산과 경상남도 거창에도 비랑산이 있다. 언어학자들은 비랑이 ‘벼랑’에서 음운이화했다고 본다. 

전국에는 ‘낭(郞)’자가 붙여진 지명도 많이 있다. 그중에서도 제천지역의 ‘제비랑산’이 가장 비랑산을 닮고 있다. 그런데 산 이름에 제(齊)가 먼저 들어간다. 백과사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충북 제천지역에 ‘제비랑산성’ 유적이 있다. 해발 502.2m의 형제봉과 그 서쪽 작은 능선의 봉우리를 돌아 북향한 계곡 상단을 에워싸서 축조한 마안형(馬鞍形)의 산성으로 둘레는 1㎞가량이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제비랑고성(齊非郞古城)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상고(上古)에 성묵산(城墨山, 제비랑산)에 제비왕(齊飛王)이 성을 쌓고 난리를 피하였다고 하며, 아직 성터가 남아 있다’고 하였다.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는 ‘천험을 이용하여 일부 석축의 붕괴된 흔적이라 생각되는 돌이 있다’고 하였다. 제비랑산성은 산의 정상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가파른 경사면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현재는 성벽의 흔적만 남아 있다.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가 개략적인 지표 조사를 하였다. 

제비랑산성의 축조와 관련하여 <조선환여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제비왕이 난리를 피하기 위해 축성하였다고 전한다. 전설의 제비랑은 제(齊)나라의 비왕(飛王), 혹은 비랑(飛郞), 비왕(非王), 비왕(裨王)으로도 전해지며 혹은 단순하게 제비왕 또는 제비랑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성의 위치와 석축 산성임을 고려하면 중국 춘추전국 시대의 제나라 또는 남북조 시대의 제나라나 연(燕)나라와의 관련성을 인정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현리산성을 제천의 ‘제비랑산성’에 등장하는 설화와 관련지을 수는 없을 게다. 그러나 비랑은 고구려보다는 신라시대의 이름과 관련 있지 않을까. 오히려 고구려 심천성(복사매)을 공략할 때 주도적 역할을 한 신라의 화랑을 지칭한 것은 아닐까. 

신라는 진흥왕대 한강 개척전쟁에서 많은 화랑과 낭도, 군사들을 잃었다. 전쟁의 선봉에 나선 화랑도는 일종의 결사대와 같은 존재였다. ‘싸움에 나서면 결코 물러서지 않는다’는 무사정신(임전무퇴)이 있었다. 강한 고구려였지만 이런 정신으로 무장한 신라군사들 앞에는 힘을 쓰지 못했다. 한강 개척을 국가운명으로 간주한 진흥왕은 몸소 접경을 순행하며 장정들을 위로하고 점령지에는 가야인들을 이주시켜 살게 했다. 이때 고구려 치소였던 현리산성의 저항도 대단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리산성에 관한 조선시대 이전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여지승람> 고적조에도 기록이 없다. 근현대 이후 자료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조선총독부, 1942)>에 의하면 “면사무를 서방(西方)으로 하여 거리 약 10정(町) 되는 상면과 하면 경계 산정에 있으며, 성벽은 거의 붕괴되어 석축 일부만 남아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1999년 발간된 <가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현황이 나온다. 조사 당시 현리산성은 이미 참호, 벙커 등 군사 시설이 개설되어 원형이 상당히 훼손된 상태였다. 2003년 8월 지표 조사 연구 용역을 진행하였으며 보고서가 나오게 되었다. 

image
경기 가평 현리산성 정상 353고지 호봉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