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조선시대 쌓은 사나사 긴 석축 담장. 그런데 한 부분에는 벽돌처럼 돌을 다듬어 쌓은 것이 보인다.

거대한 함왕산성의 웅자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해발 1031m 함왕산에 정상과 능선을 이용하여 구축한 고성이 있다. 이 성을 양근성(楊根城) 혹은 함왕산성(咸王山城), 함씨 대왕성이라고 부른다. <동국여지승람> 제8권 양근군 고적조에는 함공성(咸公城)이라고 나온다. 양근을 관향으로 한 고려 태조 때의 공신 함규(咸規)와의 관련으로 붙여진 이름 같다.

“함공성(咸公城). 군 동쪽 30리 지점에 있다. 돌로 쌓았는데 주위가 2만 9천 58척이다. 고려 때 고을사람들이 몽고 군사를 여기서 피하였다.”

군청 자료에 따르면 내성 둘레는 2㎞에 이르고, 외성은 천연적인 바위 절벽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 성이 바로 고구려 양근현의 치소로 비정되는 곳이다. 이 성은 석성의 본성 외에 외곽 능선을 따라 판축으로 축조하였다. <여지승람>의 기록대로 약 9㎞가 넘는 성이다. 지금까지 조사한 남한 지역 내 고구려 성 가운데 강원도 인제 한계리 산성과 더불어 가장 크고 높은 곳에 축조되어 있다.

이 성은 고구려 전형적인 포곡식(包谷式)성이다. 축성 방법은 일부 장방형의 돌을 벽돌처럼 다듬고 중간에 자연할석으로 쌓았다. 성벽은 남쪽과 북쪽 정상부에 남아있으며 대부분 무너져 있다. 용문산이 바라보이는 서쪽에 본래 축성한 기초석축이 남아있으며 장방형으로 다듬어 들여쌓기로 만든 석축의 열이 나타나고 있다. 할석으로 쌓은 석축은 후대 고려시대 몽고 침입 시 보축할 때 쌓은 것으로 짐작이 간다. 

성의 주요한 유구인 장대지(將台址)가 성의 북쪽(크기 15m×10m)과 서쪽(크기 25m×20m)에 남아있고, 서쪽 장대지 옆에 있는 성벽은 높이가 1.6m나 되며, 이곳의 능선에 성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군 자료에 따르면 성의 정상 북쪽에는 60m×40m면적의 건물지가 있으며 다듬지 않은 덤벙 초석 군과 기와 조각이 출토되어 이곳에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성으로 진입하는 건물터 옆에는 우물지가 찾아져 보존되고 있으며, 동편에 잘 남은 석축은 치성(雉城)으로 정연하게 다듬어 쌓은 것이 확인된다. 낙엽이 유적을 거의 덮어 와편 수습이 어렵다. 다만 경사가 급한 남쪽 성벽을 타고 내려오면서 석축 상단에서 여러 점의 와편을 확인하였는데 대부분 고려시대의 것이다. 선조문, 사선조문. 수지문 그리고 아름다운 초문이 장식된 평와편(도판)도 조사되었다. 그러나 처음 성을 축조하였던 고구려 적색 와편 등은 찾지 못했다. 

전설에는 성 밖 계곡 아래의 함공혈(咸公穴) 혹은 함왕굴(咸王窟)이라 부르는 바위굴에서 삼한시대의 함씨대왕 주악(周顎)이 태어나 성을 쌓았다고 한다. 그 후손들은 본관을 양근(楊根)으로 하였으며 양근 함씨인 고려 태조 때의 공신 함규(咸規)가 본향을 이곳으로 한 것과 관계된다.

고려 후기 몽고군의 침입 때 부근의 주민들이 이곳에 피난하였으나 125(고종 40)년에 포위공격을 당하자 방호별감(防護別監) 윤춘(尹椿)이 나와서 항복하였고, 또 1291(충렬왕 17)년 시기 합단(哈丹)에게 함락된 사실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고찰 사나사부터 답사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유적조사연구원 조사단은 새벽에 길을 떠나 9시쯤 산성으로 올라가는 초입인 사나사(舍那寺) 경내에 도착했다. 고색창연한 사나사는 양평에서 널리 알려진 유명 사찰이다. 겨울 날 아침 사찰은 조용하고 풍경소리가 정적을 깬다. 

조사단은 경내를 돌면서 건물 터에서 신라, 고려 시대 와편을 수습했다. 수지문(樹枝紋)이 선명한 이 와편들은 사나사가 고려시대 번창했던 절이었음을 알려준다. 경내 흙속에 묻힌 적색 와편이 보였으나 땅이 얼어 확인이 안 되었다. 

단아한 고려 삼층석탑과 원증국사탑(圓證國師塔) 등 경내 유물을 보고 함왕산성 등정에 올랐다. 돌이 많은 사나사 계곡은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는 곳이다. 수석과 암반을 타고 흐르는 물은 청정하기만 하다. 

사나사 긴 석축 담장은 조선시대 쌓은 것으로 아름답다. 그런데 한 부분에는 벽돌처럼 돌을 다듬어 쌓은 것이 보인다. 무려 30m가 넘을 듯한 석축담장이다. 그 석재를 다루는 방법이 고구려 성벽과 같다는 생각을 해봤다. 그렇다면 혹 사나사가 고대의 양근현 치소가 아니었을까. 

사나사의 역사는 <봉은본말지(奉恩本末志)>에 기록되고 있다. 923년 대경(大鏡)이 제자 융천(融闡) 등과 함께 창건하여 삼층석탑을 조성하였다고 되어 있다. 1367(공민왕 16)년에 보우(普愚)가 중창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모두 타버린 것을 1698(숙종 24)년에 승 덕조(德照)가 소규모의 법당을 재건하였다. 1907년에는 의병과 관군의 충돌로 모두 소실됐으나 1909년에 계헌(戒憲)이 대방 15칸을 신축하였고, 1937년에 주지 맹현우(孟玄愚)가 법당인 광명전(光明殿) 15칸과 조사전(祖師殿) 5칸을 신축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산신각·함씨각(咸氏閣)·대방(大房)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정도전(鄭道傳)이 글을 짓고 의문(誼聞)이 글씨를 써서 1386(우왕 12)년에 세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2호인 원증국사탑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3호인 원증국사석종비, 고려 중기에 세운 높이 2.8m의 삼층석탑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image
함왕산성에서 찾은 고려시대 와편들

외곽성 험준한 코스 선택 등정

글마루 답사반과 한국유적조사연구원은 초행이라 길을 잘못 들어 성의 동문지 쪽으로 등정하지 못하고 사나사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서 외성지로 올라갔다. 매우 험한 코스로 등정을 돕는 시설이 하나 없었다. 

조사반은 한참을 올라가면서 이 코스가 함왕산성의 외곽성지임을 확인하는 개가를 올렸다. 동문지를 택했다면 함왕산성의 외곽 성 구조를 파악할 수 없었을 게다. 험준한 산정으로 올라가면서 이곳에도 할석을 다져 쌓은 판축 구조를 확인했다. 고준한 곳에는 치성(雉城) 혹은 장대(將臺)처럼 쌓아 동편외곽으로 오는 적들을 방어할 수 있도록 했다. 

3개 정도의 낙타 등 같은 외성을 넘어 결국 산성의 본성인 석성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산이 매우 험준하여 실족하게 되면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었으므로 조심해야 했다. 본성으로 넘어 석축구조가 완연한 서편 성지에 오르자 한눈에 한강과 용문산의 웅자가 들어온다. 

이처럼 높고 고준한 성을 어떻게 엄청난 돌을 다듬고 날라 높이 쌓았을까. 외적들이 감히 정복할 꿈을 꿀 수나 있었을까. 고려 고종시 몽고 침공 때 성이 함락된 것은 비굴한 방호별감이 항복한 때문이다.판축 구조의 외곽성에서는 낙엽이 쌓여 토기편과 와편을 수습하지 못했다. 다만 정연한 판축의 구조를 확인한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양근 함씨 시조 전설

함왕성 전설의 주인공은 양근 함씨들이다. 성 밖 계곡 아래 있다는 함공혈이라 부르는 바위굴에서 삼한시대에 주악이라는 함씨대왕이 태어났다는 것이다. 양근 함씨의 시조 함혁이 삼한시대에 석성을 쌓고 스스로 함왕(咸王)이라 칭했으며 이곳을 세거지로 정한 함씨들이 이 바위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을 쌓고 웅거하였다는 것이다. 그 자손들이 본관을 양근으로 삼았다고 한다. 고려 태조 때의 공신 함규(咸規, ?~945)는 이곳을 본향으로 한 인물이다. 사나사에는 전각이 하나 있는데 조사 사당이 아니라 바로 함규를 모신 당이다. 

함규는 어떤 인물인가. 왕규(王規)는 고려 개국에 공이 있어 받은 사성(賜姓)이다. 광주(廣州)의 호족으로 왕건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렀다. 두 딸은 태조의 제15비 광주원부인과 제16비 소광주원부인이 되어 고려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그는 고려를 세운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앞장서 고려의 개국에 공을 세워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 등의 작위를 받았다. 그는 개국공신이 되었고, 대광(大匡)의 자리에까지 오른다. 신라 때부터 개국공신 사후에는 대개 왕으로 추존하는 예가 있는데 ‘함왕산성’이란 이름이 여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상정된다. 

에필로그

왕산성은 매우 고준하여 일반인이 오르기가 어렵다. 산정으로 오르는 등산로도 개설이 안 돼 있다. 고준한 성벽에 올라가 용문산과 한강을 조망하고 싶어도 위험하여 포기한다. 흔한 층층다리 난간을 세운 것도 없다. 등산객이 본성과 외곽성을 돌아볼 수 있는 안전시설이 필요하다. 

서울 인근에 이처럼 조망이 좋고 아름다운 산성을 왜 방치하는 것일까. 발굴사업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남한지역 최대 규모의 고구려 유적일 가능성이 있는 유적에 대한 홀대가 아닐까. 성 기저에 있는 고구려식 축성방법을 규명할 필요도 있다. 성안의 유지를 발굴하면 이 성에 숨겨진 비밀을 캘 수 있을 것이다. 동문지 남아있는 성벽은 더 무너지지 않게 해야 한다. 

사나사 계곡은 특별히 기암괴석이 많아 여름철에는 많은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수도권 인근 시민들의 역사관광지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image
함왕산성 입구 안내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