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구성면 ‘석성산성’
2㎞ 포곡식성 정연한 석성유구 와편 수습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석성산성에서 바라본 용인시내

고구려 ‘駒城縣‘ ‘滅烏’의 숨은 뜻은

용인은 고구려 때 ‘용구현(龍駒縣)’ 혹은 ‘구성(駒城)’이라고 불렸다. ‘용구’란 어린 용을 지칭하며 ‘駒(구)’는 망아지 즉 어린 말을 뜻한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기부터 ‘구(駒)’를 마(馬) 글자와 같이 썼다고 한다. 

<한서> 무제(漢書 武帝) 기록을 보면 천리를 달리는 말을 또 ‘천리구(千里駒)’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훌륭한 말을 천리구라고 호칭했다는 것이다. 고구려 시조 주몽이 북부여에서 탈출할 당시 어머니 유화가 아들에게 준 천리마가 바로 ‘용구(龍駒)’가 아니었을까. 파죽지세로 남하한 고구려의 용감한 기마 군사들을 이 같은 이름으로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 

<동국여지승람> 제10권 용인현조에 “용구현(龍駒縣) 본래 고구려의 구성현이며 멸오(滅烏)라고 한다. 신라 경덕왕이 거서(巨黍)라 고쳐서 한주(漢州) 속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초에 용구(龍駒)로 고쳤다. …(이하 생략)”고 적혀있다. 

용인의 고지명에서부터 고구려 잔영이 엿보인다. 남한지역에서 ‘高’자를 사용한 고구려 성은 많지만 龍駒(용구) 혹은 駒城(구성)이라는 글자를 쓴 유적은 찾지 못했다. 고구려 유적인 고양시 고봉산성은 ‘高’자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입증하는 명문 와편이 수습되어 토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청주 초정리 고구려성은 ‘구녀성(九女城)’으로 불린다. 청주 구녀성은 구(句麗), 혹은 구려(驅麗)의 음운이화로 이해되고 있다. 용인 고지명 가운데 또 주목을 끄는 것은 ‘멸오(滅烏)’다. ‘烏(오)’는 고구려의 상징적인 삼족오(三足烏)를 지칭하는 것이다. <두산 백과사전>의 삼족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략)...태양 숭배 및 새 신앙과 동이족과의 상호 관련성은 동이족의 일파인 한(韓)민족의 고대 유적과 문헌을 통해 살필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태양과 삼족오를 결합시킨 ‘해 속의 삼족오’와 같은 일상문이 고구려고분에 벽화로 그려졌고, 북부여의 해모수(解慕漱)와 고구려의 동명성왕(東明聖王) 등 한민족의 고대 통치자 이름에는 태양의 속성인 밝음을 함축하는 글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하략)”

학자들은 태양 속에 사는 삼족오가 동이족(東夷族)의 태양 숭배 사상 및 새 토템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고 해석한다. 그런 까닭에 태양 안에 삼족오를 표현한 문양은 대부분 동이족의 생활 영역과 이동 경로에 나타나고 동이족의 설화에는 태양과 까마귀에 관한 내용이 많이 전승되고 있다는 것이다. 고구려 진피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관식에 나오는 삼족오 장식은 가장 대표적인 엠블럼이다. 

‘멸오(滅烏)’란 이름은 고구려 군을 멸했다는 뜻이다. 이 지명은 고구려에서 붙인 것이 아니라 신라가 구성을 점령한 이후 붙인 지명으로 상정된다. 용인은 진흥왕대 신라가 북진하면서 용구현 을 멸하고 ‘멸오’라는 이름을 썼을 가능성이 많다. 이를 감안해도 용인은 고구려의 큰 세력이 진주한 땅이었음을 알 수 있다. 

구성유적에 대해서 고대(古代) 사학계는 신라유적으로 통상 이해해 왔다. 충북 음성 망이산성(望夷山城)을 바라보는 견해와 같다. 고구려 유적에 관한 언급을 하나 하지 않았다. 정연한 성벽의 구조나 산란한 와편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았다. 

과연 구성 즉 보개 산성은 어떤 방식으로 축조되었으며 또 성안에 산란한 와편은 어떤 것일까. 단풍이 짙어져 가는 11월 중순. 글마루 답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은 빛을 찾지 못하는 고구려 유적 용구성을 답사했다. 

기마민족의 상징 고구려 기병

학계는 고구려를 선비족의 유형에 속하는 비유목(非遊牧) 계통의 기마민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스키타이 계통의 기마문화가 농업지대로 흘러들어간 것은 주로 이들 비유목 계통의 기마민족이었다는 것이다.

즉 그것은 남쪽으로 옮겨간 선비에 의해서 3∼5세기의 화북에 유행하였고 또 고구려·부여 등을 통해 한반도에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고구려는 4~6세기 지구상에서 가장 광대하며 위대한 기마문화를 발전시켰다. 광개토대왕이 만주전역과 한반도를 파죽지세로 장악하고 승전한 것은 기마군대 때문이었다. 대왕이 이끈 군사력은 3만~5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개국 초 주몽이 동원했던 당시 1만군에 비교하여 크게 늘어난 숫자다. 

고구려 수만 대군의 기병 무장은 말갈군의 편입이 가장 큰 힘이었다. 고구려 별종으로 불렸던 말갈군은 고구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겼으며 대소 전쟁에 징발되었던 것이다. 말갈군은 항상 선두에서 용맹을 발휘했다. 그리고 새로 점령한 한 곳은 이들을 진주시켜 통치토록 했다. 포천 반월성에서 출토된 ‘마홀(馬忽)’이란 명문와편은 고구려 신(新) 지배지의 말갈경영을 입증하는 유물로 상정 된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장수왕 56년조(468년)에 왕이 실직국(悉直國)의 고지를 회복하기 위해 말갈군사 1만 명을 파견, 공취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사를 봐도 고구려는 정복전쟁 시 말갈 군사들의 동원을 꾀했음을 알 수 있다. 용인 용구현 혹은 구성현은 기마군단의 진주와 경영을 또 얘기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image
석성산성

석성산성은 고구려 산성인가

석성산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둘레 길이 2㎞가 넘는 산성으로 ‘보개산성(寶蓋山城)’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고구려 산성에는 ‘寶(보)’자를 쓴 경우가 더러 있다. 충주시 노은면 해발 400m가 넘는 보련산성(寶蓮山城)도 고구려 산성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석성의 유구가 남아 있다. 이 산성 아래에서 찾아진 고구려 건흥 5년 명 광배는 매우 유명하다. 

建興五年歲在丙辰 

佛弟子淸信女 

上部兒庵造釋迦文像願生生世世値

佛聞法一切衆生同此願

이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건흥 5년 병진년에 불제자 청신녀 상부의 아암은 석가불상을 조성하여 영원토록 불법을 듣기를 원합니다.”

<동국여지승람> 용인현 고적조에 다음과 같이 산성을 기록하고 있다.

“보개산성. 석축이며 주위는 2천 5백 29척이었는데 지금은 모두 무너졌다(石築 周二千五百二十九尺 今皆頹圯).”

마을 사람들은 ‘마고할미’가 쌓았다고 하여 ‘마고성(麻姑城)’이라고 부른다. 또는 ‘할미산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고나 할미는 오래되었으며 크다는 것을 표현한 말이다.

이 성은 용인시 구성면과 포곡면, 기흥읍 일대에 걸쳐 있는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보개산(해발 471.4m) 정상부를 북쪽 끝으로 하여 남서방향으로 해발 465m이상의 봉우리 3개를 지나, 남쪽의 계곡 상단을 남향하는 능선과 동남향한 능선을 함께 포용한 성벽으로 되어 있다. 규모로는 중국 요양에 있는 오녀산성 등 규모가 큰 성의 길이와 같다.

지난 11월호에 게재된 김포시 문수산성(文殊山城) 그리고 10월호에 실린 강화군 삼랑산성 (三郞山城)처럼 크기도 장대하다. 험준한 곳은 자연 지세를 이용하였으며 비교적 낮은 곳은 토석축으로 다진 판축성으로 구축한 것이다. 

석축 부분은 많이 무너져 제대로 남은 부분이 많지 않다. 그러나 장방형의 돌을 잘 다듬어 들여쌓은 것을 보면 고구려 석축 방식이 틀림없다. 석축은 동문지(東門址) 일대에 잘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석축은 커다란 장방형의 돌을 길게 다듬어 견고하게 축성했다. 동문지에서 서쪽으로 일부 석축이 잘 남아 있다. 벽돌같이 돌을 다듬어 들여쌓기로 축조한 것이다. 

동문지에서 남쪽 방향 위로 올라가는 성벽은 석축과 판축을 교차하여 쌓았다. 그러나 여기저기 무너져 보수하지 않은 것을 보면 아쉬운 감이 없지 않다. 동문지에서 성벽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장대지(將臺址)가 나온다. 판축과 석축구조의 장대지는 치성(雉城)형태로 구축하였다. 할석을 흙과 다져 쌓은 판축 구조는 일부 절개된 곳에 드러나고 있다.

답사반은 성안에서 고구려 흔적을 찾기 위한 와편 수습에 주안을 두었다. 토기편과 와편이 산란한데 바로 적색기와편이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런데 봉수대 부속 건물지 내에서 흙속에 묻힌 적색 와편의 흔적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을 찾았다. 와편은 두꺼우며 모래가 많이 섞여 있다. 

답사반은 석성산 정상 봉수대지로 올라가 와편을 조사했다. 그런데 이곳에서 고구려 전형적인 와편인 승석문(繩蓆紋) 평와를 찾는 수확을 얻었다. 이 기와는 중국 지안 산성하(山城河) 유적을 위시 임강묘(臨江墓) 등지에서 출토된 승석문(백종오, <고구려 기와의 성립>, p.184~185)을 그대로 닮고 있다. 고대 유적에서 승석문 와편을 찾으면 대개는 고구려 유적으로 판단한다.

봉수지 아래에서는 또 사격자문(斜格字紋), 수지문(樹枝紋) 그리고 평양 안학궁지 발굴에서 찾은 엽문(葉紋. 최맹식, <삼국시대 평기와 연구>, p.189)등 평와편이 발견되었다. 이 성은 이미 오래전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신라 유적으로 해석되었다. 진흥왕이 광주, 평택지역과 한강유역을 공취하면서 정복한 것으로 보면서 출토된 토기와 와편들을 신라계로만 해석한 것이다. 이 같은 사례는 여러 유적에서도 수없이 반복되어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절실히 느낀다. 

성안에 산란하는 많은 토기편 가운데서도 흑색의 토기들도 보인다. 이는 고구려 징후가 뚜렷한 것이다. 연질 토기편과 경질 토기 등 많은 토기 편들이 산란하고 있다. 이 성에서 고구려 신라군의 공방을 알려주는 증거물들이다. 

image
석성산성 봉수대지 아래에서 수습된 수지문, 사격자문 평와편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