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15세기 나신걸 한글편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2.12.29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훈민정음 반포의 생생한 실상이 담긴 ‘나신걸 한글편지’가 보불로 지정 예고됐다. 

29일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이자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나신걸 한글편지’를 비롯해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등 조선 시대 불상과 불화를 포함한 총 3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나신걸 한글편지’는 조선 초기 군관(軍官) 나신걸(羅臣傑, 1461~1524)이 아내 신창맹씨(新昌孟氏)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이다.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시대 신창맹씨 묘안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됐다.

편지의 제작시기는 내용 중 1470~1498년 동안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보이는 점,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한 시기가 1490년대라는 점을 통해 이때 작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지는 아래, 위, 좌우에 걸쳐 빼곡히 채워 썼으며, 주된 내용은 어머니와 자녀들에 대한 그리움, 철릭(조선 시대 무관이 입던 공식의복) 등 필요한 의복을 보내주고, 농사일을 잘 챙기며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부탁이다. 

이 편지가 1490년대에 쓰였음을 감안하면,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불과 45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과 하급관리에게까지 한글이 널리 보급됐던 실상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한글이 여성 중심의 글이었다고 인식됐던 것과 달리, 하급 무관 나신걸이 유려하고 막힘없이 쓴 것을 보면, 조선 초기부터 남성들 역시 한글을 익숙하게 사용했음을 보여 준다. 

기존에는 조선 시대 관청에서 간행된 문헌만으로는 한글이 대중에 어느 정도까지 보급되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면, ‘나신걸 한글편지’가 발견됨으로써 한글이 조선 백성들의 실생활 속에서 널리 쓰인 사실을 확인한 계기가 됐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해당 유물은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자료이자 상대방에 대한 호칭, 높임말 사용 등 15세기 언어생활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image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배치 모습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2.12.29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2015.1.15. 지정)’는 조각승(彫刻僧) 응혜(應惠)를 비롯한 9명의 조각승들이 1652년 3월 완성해 관룡사 명부전에 봉안한 17구의 불상이다. 

수조각승 응혜는 현존작을 통해 1634년부터 1674년까지 활동사항이 알려져 있는 17세기 중엽의 조각승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수조각승으로 활동하기 전, 청헌(淸憲)이나 승일(勝日) 등 당시 대표적 조각승의 작업현장에서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성장한 인물로, 이 명부존상은 그가 가장 왕성하고 완숙한 조각 솜씨를 펼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창녕 관룡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은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 응혜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봉안된 전각의 변화 및 조선 후기 명부전 존상의 구성과 독자적 양식의 성립 과정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품이다. 발원문 등 관련 기록을 잘 구비하고 있고 작품의 완성도도 뛰어나며, 17세기 중반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을 무대로 활동한 대표적인 조각승의 작품으로서 학술연구에서도 중요하다. 

image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2.12.29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06(순조 6)년 순조와 순원왕후의 장수를 기원하며 상궁최씨(尙宮崔氏)가 발원하고, 당대 대표적 화승(畵僧)이었던 민관(旻官: 敏寬) 등 5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한 대형불화이다. 이 괘불도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동안 서울 경기지역의 불화 제작을 전담한 화승집단의 일원이었던 민관의 대표작이자, 궁녀가 발원하여 조성한 왕실 발원 불화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비로자나불(중앙)-노사나불(오른쪽)-석가여래(왼쪽)의 비로자나불 삼신불을 화면 가득히 배치한 구도와 협시불을 본존불보다 반걸음 정도 앞세워 배치한 표현은 18·19세기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크게 유행한 도상 중 하나다.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9세기 초 서울·경기 지역의 새로운 괘불 양식이 반영된 최초의 작품이라는 점, 여래형 비로자나불과 좌우에 보관(寶冠)을 쓴 보살형 노사불과 석가불로 구성된 유일한 삼신불 도상이라는 점,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는 시대적 전환기 속에서 신·구 양식을 모두 반영한 작품이라는 점 등에서 예술적·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