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제품 가격표를 살펴보고 있다.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물가와 환율이 정점을 찍고 내려가는 분위기지만 고물가와 고환율이 지속되는 동안 받은 충격 여파로 인해 한국경제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침체기로 접어들고 있다. 여기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고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 7월과 10월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가파르게 오른 금리인상도 경기 충격에 한몫하고 있다.

이는 최근 발표된 거시 경제지표들을 통해 실물경기 하강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최근 발표된 10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1.5% 감소했는데 감소폭이 2020년 4월(-1.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었다. 2020년 4월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 실물경기가 급락하던 시기다. 최근 하락폭이 당시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는 것은 현재 실물경기 하강 폭이 코로나19 사태 초기 때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다. 특히 한국경제를 이끌고 있는 수출이 지난 11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14.0%나 급감했다. 수출의 대표 품목인 반도체 부문에서 실적이 30%가량 감소한 것이 결정적인 타격이었다.

수출이 악화되면서 한국경제를 떠받쳤던 내수도 10월을 기점으로 적신호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서비스업 생산이 0.8% 줄면서 2020년 12월(-1.0%)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도 0.2% 하락했다.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으나 여전히 5%대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0%를 기록하며 한 달 전보다 0.7%포인트(p)나 낮아졌으나 7개월째 5%를 지속했다. 

그나마 물가가 정점을 찍고 빠르게 내려가는 조짐을 보이는 것은 한국경제에 청신호다. 절대적으로 5.0%라는 물가상승률 수준을 낮다고 볼 수는 없으나 지난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를 기록한 이후 10월 한 달을 제외하면 물가 상승세는 점차 꺾여가는 추세인 셈이다.

11월 물가 둔화의 직접적인 배경으로는 공급 측면인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세가 큰 영향을 미쳤지만 개인서비스나 외식 등 물가도 소폭이나마 둔화 움직임을 보였다. 경기가 급속도로 둔화하면서 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도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 배경이다.

원/달러 환율도 약 4개월 만에 1300원선 아래로 떨어지며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물가 상승률 둔화와 이에 따른 금리 인상속도 감속 기대감 덕분에 현재 1300원선 아래(5일 종가 1292.6원)로 내려온 상태다. 10월 한때 1444원까지 올랐던 환율이 1300원선 아래도 내려온 것은 지난 8월 5일(종가 1298.3원)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이 같은 측면에서 한은 통화정책의 기본 전제조건도 빠르게 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그간 한은 금리 인상의 배경이 됐던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한국의 물가, 원/달러 환율 등 주요 변수가 줄줄이 바뀌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부동산시장이 자칫 급락할 수 있다는 우려에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최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연 3.5% 안팎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마치기를 희망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한은과 정부는 당분간 5% 안팎의 물가 상승률 수준이 이어진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현재로선 상당기간 경기침체 국면이 지속될 전망이다.

#물가 #환율 #하강세 #한국경제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