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군 노산성
창성한 까마귀… 고구려 축성 흔적 뚜렷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image
강원도 평창 노산성

강원도 평창군은 고구려 시대 ‘욱오현(郁烏縣)’ 혹은 ‘우오(于烏)’라고 불렸다. 한자사전에서 ‘郁’의 뜻을 찾아보면 성할 욱, 울창할 욱으로 나온다. 성하고 창성하다는 뜻이니 지금의 군명 평창(平昌)과 일맥상통하는 의미다. 

<삼국사기>에 ‘백오현(白烏縣)은 본래 고구려 욱오현(郁烏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는 기록이 있다. <논어> 팔일(八佾)편에 공자는 ‘주나라가 두 시대를 본받았으니(夏와 殷) 그 문화가 성하고 빛난다(郁郁)’고 하면서 주나라를 따르겠다고 말하는 문장이 나온다. ‘주감어이대 욱욱호문재 오종주(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가 그것이다. 

‘욱오’의 까마귀 ‘烏’는 태양 안에 산다는 삼족오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태양이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대개 ‘오’자에 대해선 고구려 언어로 소형, 소, 돼지, 나루로 해석하고 있다. 

우오(于烏)는 ‘아! 태양’, 욱오(郁烏)는 ‘광채 나는 태양’을 뜻하는 것인가. 신라 경순왕 때에는 ‘밝은 태양’이라는 뜻의 ‘백오현(白烏縣)’으로 개칭했고, 지금의 영월인 내성군(奈城郡)에 속했다.

평창읍내에서 고구려 현 치소로 추정되는 곳이 노산성(魯山城)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군의 북쪽 1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라고 나온다. 대개 진산이라고 명명된 산에는 읍민을 보호하는 성곽이 있는 것이 상례다. 평창 역사 이래 노산성은 바로 보민유적으로 긴 역사를 간직해 온 것이다. 

image
고구려 치성은 뾰족하게 쌓는 것이 특징이다.

노산이란 이름은 고려 때

고구려 땅이었던 욱오현은 757(신라 경덕왕 16)년에 자춘현(子春縣)·주천현(酒泉縣)과 함께 내성군(奈城郡, 현 영월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에 와서는 940(태조 23)년에 평창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은 ‘郁’과 태평성대의 상징인 흰 까마귀를 고려해 ‘욱오’를 ‘평창현’으로 개칭했다는 것이다. 1299(충렬왕 25)년에는 현령을 두었고, 1387(우왕 13)년에는 충신 이신(李信)의 고향이라고 하여 군으로 승격되었다. 노산(魯山)이라고 이름 지어진 것은 고려 시기다. <고려사>에 따르면 우왕 때 ‘노산’이라고 부르기도 했다는 것이다. 

<평창군지>를 보면 조선 시대에는 군내면(郡內面)·북면(北面)·남면(南面)·미탄면(美灘面)·동면(東面)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895(고종 32)년 부제가 실시되어 충주부(忠州府) 평창군이 되었고, 1896(고종 33)년에 다시 도제가 실시되면서 강원도에 편입되었다. 

1906(광무 10)년에 동면이 정선군으로 이관되고, 강릉으로부터 대화면·진부면·봉평면의 3면을 편입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군내면·남면·북면을 합친 뒤 1917년부터 평창면이라 하였다. 1931년에는 정선군 도암면이 평창군으로 흡수되었고, 대화면의 방림·운교·계촌리를 나누어 방림면을 새로 만들었다. 

1973년 도암면 봉산리와 호명리 일부가 진부면으로 편입되고 진부면 장평리가 봉평면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에 평창읍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봉평면·진부면·대화면의 일부를 합쳐 용평면이 새로 생겨났다. 2007년 도암면이 대관령면으로 개칭되면서 1읍 7면의 오늘에 이르고 있다.

노산은 시름을 잊었던 곳인가

평창은 산수가 아름다워 옛 시인들이 다투어 이를 예찬했다. <여지승람> 제영 조에 조선 전기 문명이 높았던 국오 강희맹(菊塢 姜希孟)이 지은 노산성 시가 있다. 국오는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원종공신 2등에 책봉된 인물이다. 지리서의 대종인 <동국여지승람>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국오는 어느 해 봄날 평창에 들러 노산성에 올라간 모양이다. 성은 절벽이 높고 길이 험했다. 그는 ‘일백 가지 근심을 노성의 봄에 흩어버린다’는 시를 남겼다. 

어제 일찍이 큰 고개를 넘어 왔더니

회오리바람에 의지하여 

만리를 돌아서 온 것 같구나

매단 것 같은 벼랑에 끊어진 돌계단은

돌기가 겁이 나고

고목(古木)과 창등(蒼藤. 등나무)은 거리마저 아득하네

다리 밑에 이젠 이미 평탄한 길을 찾은 것을 알건만

꿈속에는 아직도 

파란 절벽을 기어오르는 꿈을 꾼다. 

백가지 근심을 노성의 봄에 흩어버리니

술 마시며 높은 소리로 담소하여 줄겨하노라

 

세종 때 문사 정귀진(鄭龜晉)은 ‘흰 구름이 일만 그루의 소나무를 깊이 잠궜다’고 했고 세조 때 문신 김수녕(金壽寧)은 ‘시름을 씻는데 병에 술이 없을 수 있으랴. 기이한 것을 구하는데 도리어 상자에 글이 있구나. 이번 유람의 기절함이 평생에 으뜸 되니 책속의 좀벌레 같은 생활이 우습기만 하여라’라고 노래했다.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문화연구회는 봄비가 내렸던 2021년 4월 30일 평창 노산성을 답사했다. 강원도 평창의 늦은 봄은 온갖 꽃과 연두색 수목이 조화를 이룬 싱그러운 무릉도원이었다. 어디서 이런 아름다운 정경을 볼 수 있을까. 국오의 시처럼 세상의 온갖 시름을 잊고 떠나 쉴 수 있는 피안처럼 와 닿는다. 

평창 노산성과 고구려 욱오현은 어떤 연관을 갖고 있는 것일까. 이곳에서는 또 어떤 고구려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것일까.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 답사반은 서울에서 편도 3시간이 소요되는 노산성 답사 길에 올랐다. 

image
벽돌처럼 쌓아만든 고구려 축성방식이 잘 남아있는 평창 노산성

고구려 성지 노산성에 오르다

<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노산, 군의 북쪽 1리에 있는 진산이다(魯山 在 郡北一里 鎭山)’라고 나오고 고적조에는 ‘노산고성 둘레가 1천 3백 64척 우물이 하나(石築周一千三百六十四尺 高 四尺 內有 一井 今半頹落)’라고 기록된다. 

이 성에 대한 백과사전의 기록을 인용해 본다. 

노산성은 평창강이 굴곡하는 곳에 우뚝 솟은 노산(해발 419m)에 쌓았는데,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북쪽은 절벽이거나 매우 가파른 곳이어서 천험의 지대라고 할 수 있다. 

‘돌로 쌓았으며 둘레 1364척, 높이 4척이다. 안에 한 우물이 있다. 지금은 반은 퇴락되었다’고 <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이 성은 조선 선조 초에 군수 김광복(金光福)이 쌓은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권두문(權斗文) 군수가 지사함·우응민·이인노 등과 함께 백성을 거느리고 왜군과 싸웠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성의 둘레는 517m이며, 성벽은 대체로 붕괴되었으나 잘 남아 있는 곳은 높이 5.3m에 이르는 곳도 있다. 성벽은 북쪽의 절벽부분을 제외한 곳에만 축조되었는데, 능선의 바로 아래 부분을 삭토하고 그 바깥쪽에 성벽을 구축함으로써 성벽을 따라 편편한 내환도(內環道)를 만들었다. 이러한 방식은 홍천 대미산성(大彌山城)의 축조법과 같은 방식이다. 성내 시설로는 산 정상 부근에 깊이 약 2m의 우물터 한 곳이 있다. 

성안에서 고려 후기에서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토기조각들과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기와조각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 산성은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축조된 산성으로 보이며, 이후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와서는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일시적으로 수리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노산성은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는 이미 축조된 산성으로, 대부분 성벽이 붕괴되어 있는 상태이나 임진왜란 때 권두문 군수가 백성을 거느리고 왜군과 싸웠던 유서 깊은 곳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답사반이 확인한 것은 이 성이 본래 내·외성으로 구축된 토성을 중앙에 두고 외곽에 석성을 쌓은 것이었다. 그리고 백과사전에 기록된 이 성의 시대 추정과 판단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노산성과 같은 형식은 단양 온달산성, 영월 고산성에서도 확인된 것인데 고구려 지배 이전에 이미 토성을 구축한 세력이 살고 있었음을 알려 준다. 그들은 부족국가 시대 마한 세력이었을까, 아니면 백제였을까. 토성의 내성 중앙에는 깊은 웅덩이 같은 낮은 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흡사 로마시대 원형 경기장을 방불케 한다. 토사가 쌓여 안에서 토기편이나 기타 유물을 수습할 수가 없다. 원래는 큰 나무들이 많았던 것 같은데 모두 베어 나무 밑만 남아 있다. 지대가 낮으나 건물지 혹은 곡물이나 무구(武具)들을 보관했던 창고지가 아니었을까. 

이 원형 대지를 에워싼 내성의 토성은 잘 남아있다. 석성의 방어가 무너지면 토성에서 2차 저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같다. 토성 주변에서는 숲이 우거져 토기를 수습할 수 없었다. 

노산성 입구는 동문지로 추정된다. 시멘트 층계를 해 놓았으며 이 공사로 인해 일부 성벽이 훼손 되었다. 주변에서는 많은 고대 와편이 산란한다. 고대 와편 가운데는 적색의 기와들이 주종을 이룬다. 선조문(線條紋), 승문(繩紋) 그리고 태조의 선문, 격자문(格子紋) 등 전형적인 삼국시대 와편이다. 이 와편은 중국 지안 지역 고구려성지와 평양 대성산성 그리고 임진강 유역의 고구려 성지에서 출토된 와편과 닮았다. 

또 회흑색의 세장한 선조문도 보이는데 이는 신라계로 추정된다. 경주 반월성이나 신라 성지에서 다수 찾아지는 와편이다. 노산성에서 고구려 세력을 축출한 신라인들이 건축물을 구축한 증거물이 된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와편이 또 보이는 것은 이 성이 오랫동안 이용되었음을 알려 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