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송범석 기자] 2012년 5월 7일 모스크바 크렘린 대궁전에서 대통령 취임식이 진행됐다. 2000년부터 대통령으로서 8년, 이후 메드베데프 정부의 ‘실세 총리’로서 4년, 도합 12년에 걸쳐 러시아의 최고권력자 지위를 유지했던 블라드미르 푸틴이 또다시 6년 임기의 대통령직에 복귀하는 순간이었다.

푸틴 3기의 러시아 대외정책 환경 요인은 과거와 사뭇 다르다. 일단 중국의 부상이 주목할 점이다. 중국이 명실공히 G2 체제의 한 축으로 부상함으로써 국제세력관계의 구성과 배열이 변하고 있다. 이를 견제하는 미국의 노골적인 움직임도 가시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얀마와의 수교, 서해에서의 빈번한 해상 훈련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강봉구 HK교수는 “향후 중국의 힘이 더욱 커져 미국의 힘에 근접하면 할수록, 러시아는 두 강대국 간 세력균형의 향배를 좌우하는 결정적 ‘무게추 국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월간 통일한국 8월호’를 통해 전망했다.

강 교수는 “러시아 대중정책의 화두는 급속히 모멘텀을 갖기 시작한 글로벌 세력구성의 새로운 변화에 대응할 것인가로 모일 것”이라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세계에서 중국의 위상과 존재감이 두드러지고 있지만, 아직 중국은 공세적으로 자국의 국익을 추구하고 영향력 증대를 꾀할 만한 힘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그런 힘을 갖춘다고 하더라도 공세적이며 개입주의적인 방향으로 대외정책 노선을 변경할 것인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그는 “미래에 미중 두 강대국의 힘이 비등하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국력이지만 러시아가 어느 편과 제휴하느냐에 따라 양 세력 간의 힘의 우위가 결정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특히 “급성장하는 중국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전략은 중국의 성장을 러시아의 발전에 위협이나 장애물이 아니라 기회요인이 되도록 이에 최대한 편승하는 데 초점을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림대 러시아학과 최태강 교수는 러시아가 김정은 체제와 긴밀한 관계 속에서 연착륙을 유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러시아는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정치‧외교적 협상을 중시하고, 기존의 6자회담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최 교수에 따르면 러시아는 3가지 대한반도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동시베리아와 극동 러시아의 개발과 발전을 하는 데 있어 한반도의 안정이 필수적이라는 것 ▲러시아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지지하며,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6자회담을 조기 재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김정은 체제 하의 북한 지도부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북한체제의 연착륙을 유도하는 것 등이다.

최 교수는 “요약하자면 푸틴 집권 3기는 남북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국가이익과 실용주의적인 외교노선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북한 핵문제로 고조된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남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