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한미 관계는 지금껏 우호적이고 밀접했다. 그러나 그것이 바뀌려 하고 있다."
미국 정치 전문 폴리티코는 25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 언론학 교수이자 퓰리처상을 받은 뉴욕타임스(NYT)의 전 특파원 조엘 브링클리가 서울에서 보낸 기고문을 기사 형식으로 인터넷판에 실었다.

그는 연말 대선 투표장에서 젊은이들이 복수를 계획하고 있어, 미국이 아픔을 느낄 것 같다고 썼다.

한 대학생은 "우리는 여전히 미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고 스스로 어떤 결정도 못 한다"며 "작전통제권과 주권을 되찾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멀리 떨어진 서방 국가 국민은 대부분 한국을 볼 때 핵무장 국가인 북한과 60년간 대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렌즈로 삼는다.

반면, 서울에서 보면 인구의 25%를 차지하는 젊은 세대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덜하며 현 정부가 북한 문제에 집착하는 것이 잘못된 정책 방향이라고 믿는다.

게다가 2만8천500명의 미군이 주둔할 이유도 별로 없다고 본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젊은이들은 북한에 정말 관심이 없다. 이들은 '공존'이라는 옛 정책을 신뢰하는데,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면서 더는 공존이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북한이 또 다른 핵실험을 준비하는 지금도 이 전략은 먹히지 않는 것 같다.

북한은 지상에서 가장 절망적인 곳이고 인민은 말 그대로 굶어 죽어 가지만 북한 당국은 이들을 살리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남한은 자동차, 반도체, 휴대전화를 생산하는 부유한 국가다. 1인당 국민소득은 3만2천달러로 북한의 18배이며 어느 곳에서나 스타벅스, 크리스피 크림, 캘빈 클라인을 볼 수 있다.

그러니 많은 젊은이에게 대북 갈등은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 유세처럼 멀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햇볕정책을 선호했던 한국의 두 전직 대통령은 더 가혹한 정책을 쓰려던 조지 W. 부시 행정부와 충돌해 막연히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2008년 북한의 첫 핵실험 직후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서, 또 2010년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이 터지고 나서 한국은 대북 강경정책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많은 한국인, 특히 젊은 층이 이를 원하지 않아 지난해 '좌파 활동가'인 박원순 서울시장이 뽑혔고, 40세 이하는 70%가 그를 지지했다.

이런 추세라면 12월 대선에서 미국은 또 한 번 '적대적 정부'에 맞닥뜨릴 수도 있다.

지난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국회 투표에 부쳐졌을 때 당시 야당 대표는 "FTA 비준은 한국 민주주의의 죽음"이라고 했고, 다른 좌파들은 이 협정을 1910년 경술국치에 비유했다.

한국군은 징병제를 시행하는데, 요즘 신병은 엄연한 적인 북한에 대해 아는 것도 관심도 없다.

한 여대생은 "부모 세대에는 미군 상대 매춘도 많았고 한국 정부도 협조적이었다. 그게 애국으로 여겨졌었다"며 "그렇지만, 우리 세대는 북한에 무관심하고 미군이 더 머물러야 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