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 14대 종손인 김시인 씨의 상주들이 가문의 전통에 따라 유림장으로 장례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천주교․유림장 상례문화 기록 보고서 발간
김수환 추기경-소운 김시인-화재 이우섭 등 장례 및 삼년상 소개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현대판 한국 장례의궤가 드디어 세상의 빛을 봤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이 현대 장례의궤 작성의 일환으로 김수환 추기경 선종, 소운 김시인 삼년상, 화재 이우섭 삼년상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2007년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 14대 종손인 소운 김시인 씨, 김해의 전주이씨 화재 이우섭 씨의 삼년상과 2009년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의 장례식이 기록돼 있다.

김 씨와 이 씨 삼년상은 한국 상례문화의 전통으로 정착한 유교식 상례 예법에 따라 치러졌고, 이 보고서는 이러한 삼년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현장감 있게 기록한 최초의 보고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종 보고서 역시 김수환 추기경의 운명부터 연도(煉禱), 위령미사, 장례미사, 추도미사와 추모행사까지 50일간의 장례 및 추모행사 전 과정을 직접 조사해 현장감 있게 기록됐다.

먼저 ‘김수환 추기경 선종’에는 한국 천주교 장례문화를 기록한 의궤형식의 보고서로 김 추기경의 생애사부터 50일간의 장례 전 과정과 추모행사, 사회 각계각층에서 보낸 메시지, 장례 당시의 추모 열기, 김 추기경 신드롬 등 현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들여다보듯 상세하게 수록됐다.

김 추기경의 장례식은 천주교 장례문화와 한국의 전통상례문화가 융화된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창 형식의 연도, 습과 염, 명정, 매장 방법, 우제, 문상 시 절을 하는 모습 등은 천주교와 한국의 전통문화가 융화된 새로운 모습이다.

▲ 2009년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당시 하관예절이 치러지고 있다. (사진제공: 국립민속박물관)

‘김시인의 삼년상’은 종가의 전통에 입각해 기록됐다. 당시 상례는 고인의 사회적 위상에 따라 유림장(儒林葬)으로 진행됐고, 학봉종택 가문의 전통에 따라 치른 삼년상이었다. 이를 통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봉종택의 예법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종가이기 때문에 3년에 걸쳐 진행되는 유교식 상례 19개 절차를 소홀함 없이 수행하는 모습도 엿볼 수 있다. 상주들이 매장을 하고 신주를 만들어 집으로 와 반곡을 하면 여자상주들과 주부들이 대문 밖에 나가 맞이하는 장면들은 쉽게 볼 수 없는 장면이다

‘화재 이우섭 삼년상’은 전주이씨 이우섭 씨의 삼년상 보고서로 고인이 평생을 한학에 전념한 위상에 따라 역시 유림장으로 진행됐다. 이 씨는 신학문을 하지 않고, 평생 유학에 힘썼고, 고인이 생전에 부친과 모친의 삼년상을 치렀듯이 아들 4형제가 선친의 유지에 따라 삼년상을 치렀다.

이 삼년상은 소종가를 시작하는 집안의 삼년상이라는 점에서 학봉종택의 삼년상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 집안에서는 ‘사례편람’을 옆에 두고 일일이 확인하면서 의례를 하나하나 진행했다.

또 양례 때에 방상시(方相氏)를 세우고, 노제를 지내며, 전문적인 선소리꾼을 내세우는 등 형식 하나하나를 갖추는 등 교과서적인 면이 강하다. 맏상주 이홍규 씨는 사업을 잠시 그만두고, 3년간 하루도 빠지지 않고 부친의 산소에 성묘를 해 가히 여묘살이를 방불케 하는 근신을 겸한 생활을 3년간 지속했다.

또 둘째아들은 수염과 머리를 자르지 않고 삼년상을 치르기도 했다. 화재 이우섭의 삼년상 조사보고서는 종가가 아닌 소종가의 상례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는 물론 길잡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전주이씨 전주이씨 이우섭 씨의 상주들과 지인들이 장례의식 중 하나인 행상(行喪)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국립민속박물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