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의 우려 속에 종합편성채널(종편)이 1일 개국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와 매일경제신문 등 종편 4개사가 지면을 넘어 이제는 방송으로 여론형성 과정에 새로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 4개사가 개국하는 1일 한겨레, 경향신문, 한국일보 등 일간지와 경남도민일보 등 지역신문이 항의한다는 의미의 백지 광고를 게재해 이슈가 되기도 했다. 광고로 운영되는 신문매체의 특성상 ‘백지 광고’는 강력한 항의나 마찬가지다.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경우는 종편 반대 백지 광고 외에도 2일까지 종편 개국과 언론노조 총파업에 대해 매일 4개면 이상의 전면 특집기사를 꾸밀 정도로 종편에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종편에 대한 문제는 개국 이전부터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할 정도로 언론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논쟁을 일으켰다. 현 정권은 신문법상 신문·방송 겸영 금지 규정을 빼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미디어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까지 종편을 추진시켰다. 현 정권은 글로벌 미디어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여론의 다양성 제고를 내세우며 종편을 강행했지만 정권에 우호적인 친여․보수 미디어를 강화시키려 한다는 여론을 막을 수는 없었다.

종편 4개 중 3개가 조․중․동 소유라는 것이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라는 목소리 또한 높다. 우리나라에는 참으로 많은 언론사가 있다. 종편에서 제외된 이들이 ‘사촌이 땅을 사는 격’으로 배 아파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종편으로 여론의 다양성을 추구한다고는 하지만 안심이 되지 않는 것은 그 다양성 속에 무엇인가가 도사리고 있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일 것이다.

종편으로 시청자의 채널 선택권을 넓혀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겠으나 종편 출현이 미디어, 언론 전반에 미칠 해악을 모른 체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특히 보도와 광고를 분리하기 위한 ‘방송광고판매대행사(미디어렙)법’ 없이 종편이 출범하게 됨으로써 가장 큰 혼란을 겪는 건 광고시장이다. 종편들이 직접 광고영업에 들어간 데 이어 지상파 방송들까지 뒤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중․동이 만드는 종편이 획일적인 목소리를 내는 집단이 될 개연성에 우려를 표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허나 이미 종편은 개국했다. 남은 것은 시청자들의 몫이다. 언론 또한 시청자들이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중립에 서서, 진실에 근거한 보도를 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줘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