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 위한 혁명… 경제·사회·정치 등에 영향

‘불평등·부자유의 세상을 대평등·대자유의 세상으로 만들려는 민중의 움직임’인 동학(1984)을 ‘운동’이 아닌 ‘혁명’이 맞는 표현이라며 이를 일반화시켜야 한다는 학계의 목소리가 크다. 이는 지난 2004년 국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가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특별법)’이 통과되면서 ‘동학농민혁명’이란 호칭이 인정받았으나 통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21일 동학농민혁명 특별기획 심포지엄 ‘역사교과서의 동학농민혁명 서술,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 박맹수 원광대 교수는 “동학은 유가사상을 근간으로 해 ‘안민(백성의 안녕과 행복)’을 돌보지 않고 있는 조선왕조를 벌하고 안민을 달성하고자 했다”며 “동학농민혁명은 동아시아의 혁명 전통에 바탕을 둔 명실상부한 ‘대혁명’”이라고 정의했다.

박 교수는 동학이 혁명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유가의 혁명사상에서 찾았다. 유가에 따르면 혁명은 통치자가 천명에 어긋나는 행위를 했을 때, 천재지변을 예방하지 못해 백성이 곤궁에 처했을 때 일어나는 자연적인 이치다. 다시 말해 백성의 여론에 귀를 기울이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는 것이 천명이며, 통치자는 안민 과 민본주의 바탕으로 정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가의 혁명사상을 계승한 맹자는 “통치자가 이를 어길 경우 폭력을 써서라도 혁명해야 한다”며 폭력혁명 정당설을 주장했다.

동학 혁명사상은 ‘보국안민을 위한 계책’으로 ▲개벽의 문명 혁명 ▲동학사상 또는 종교혁명(주자학 일존주의 극복과 신앙·포교의 자유) ▲보국안민(부패한 집권자 교체)의 정치혁명 ▲시천주(신분제 해체와 평등주의 실현)의 사회혁명 ▲유무상자(부자와 가난한 자가 서로 도와야 한다)의 경제혁명 등 각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박 교수는 “동학농민혁명은 비합법적 폭력혁명의 성격을 가졌다”며 “이는 1892~1893년에 일어난 합법적 개혁운동인 교조신원운동이 지배층의 탄압으로 좌절되면서 생겨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광 고려대 명예교수는 “현재 동학농민운동으로 역사용어가 획일화돼 있다. 이는 역사교육 검정을 주관하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집필기준’에 원인이 있다”면서 “집필기준에 제시된 동학농민운동은 학계의 다양한 견해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며 한 가지의 학설만 가르치는 교육 환경을 꼬집었다.

현재 교과서는 ‘동학농민운동’이란 제목하에 사회운동 측면보다 ‘농민군’ ‘농민봉기’ 등으로 사건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사건의 전개과정에서 주요 전투에 초점을 맞춰 이 사건이 청일전쟁을 발발시킨 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 교수는 “역사교과서를 통해 하나의 사건에 대해 다양한 해석방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며 “집필지침에 따라 동학농민운동이라는 용어를 고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