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교문화비평학회와 한국종교문화연구소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이창익(오른쪽)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교수가 논평을 하고 있다.ⓒ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이길상 기자] 종교문화비평학회와 한국종교문화연구소가 ‘종교와 동물’을 주제로 지난 19일 만해NGO교육센터에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종교라는 문화의 장’ 즉 특정 종교 전통, 종교와 관련된 담론‧실천‧제도의 영역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어떻게 구성됐는지, 그러한 과정이 갖는 ‘의미와 효과’가 무엇인가를 종교문화 비평 차원에서 점검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동물보호’와 ‘동물상징’, 두 가지 차원으로 접근했다.

윤승용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소장은 개회사에서 “동물보호는 ‘종교와 인권’이라는 논의를 동물의 차원에까지 확장시키는 동시에 ‘종교와 생태’라는 논의를 동물을 중심으로 구체화하는 작업”이라며 “여기서 핵심적으로 등장하는 용어는 동물 권리와 복지, 동물 윤리, 육식과 채식 등과 같은 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물상징과 관련된 논의는 다양한 동물상징과 표상에 투영된, 특정사회 문화의 ‘인간론과 우주론’을 드러내는 작업으로써 이 영역에서 핵심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동물신화와 희생제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덧붙여 “동물 보호라는 ‘윤리적 차원’과 동물 상징이라는 ‘인식론적 차원’은 분석의 차원에서는 구별되지만 실제의 차원에서는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6개 소주제의 논문 발표가 있었다. 논문의 소주제는 ▲종교와 동물, 그 연결점의 자리 ▲인도종교에 나타난 동물존중 태도 ▲유대그리스도교의 전통에서 본 동물 이해 ▲간지와 프랑켄슈타인, 그리고 채식주의의 노스탤지어 ▲원시종교 이론에 나타난 인간과 동물의 관계 ▲중화민족이 용의 후예가 되기까지의 과정 등이다.

홍윤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는 ‘중화민족이 용의 후예가 되기까지’라는 주제의 논문 발표에서 “오늘날 중국인은 스스로 ‘용적 전인(龍的 傳人)’ 즉 ‘용의 후예’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날 중국을 가리켜 ‘용의 귀환’ ‘깨어나는 용’과 같은 표현을 쓴다”라며 “용은 만리장성, 황하 등과 더불어 중국의 대표적 상징이며 용의 후예라는 말은 중국인의 민족적 뿌리를 나타내는 말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홍 교수는 “서양의 용은 퇴치의 대상이나 사악한 존재임에 비해 용은 길상(吉祥)의 상징이라는 것도 정확한 설명이 아니다”라면서 “중국 문헌 속에서도 용이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거나 진압과 퇴치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예는 적지 않다”고 발표했다.

한편 성경(聖經)에서는 용을 ‘사단‧마귀’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훼방하고 대적하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요한계시록 20장 2절).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