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광복군 합동 봉송식 참석
2008년 이후 정치권서 공방
건국 기준 두고 첨예한 대립

image
추모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천지일보=이대경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무명의 희생과 헌신도 국가의 이름으로 끝까지 챙기고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엄수된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에 참석해 “앞으로도 정부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을 책임 있게 예우하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추모사에서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누리고 있는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며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 묘소에는 20대의 젊은 나이에 중국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다 전사하거나 옥중 순국하신 13분을 포함해 17위의 선열들이 지난 60여 년간 모셔져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봉송식은 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 묘소에 안장돼 있던 고(故) 김유신 지사 등 17위 선열들을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기 위한 봉송 행사다. 이들은 20대의 꽃다운 나이에 중국 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하거나 직계 후손이 없는 등 그동안 이름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선열들이다. 윤 대통령은 17위 선열들의 이름을 일일이 언급하고, 일부 지사에 대해서는 업적을 직접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시정부의 국군인 광복군을 예우하기 위해 이종섭 국방부장관과 김승겸 합동참모의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안병석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김태성 해병대사령관, 여운태 육군참모차장 등 군 주요직위자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17위 선열들의 영현 봉송 중 마지막 영현이 현충관을 빠져나가기 전 의장대가 멘 끈을 직접 고쳐주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박 처장과 이 장관 등과 함께 현충관 밖으로 나와 17위의 영현이 서울 현충원을 모두 빠져나갈 때까지 자리를 지켰다.

윤 대통령은 봉송식 행사 참석 전 충열대(애국지사, 임시정부요인, 무후선열을 추모하는 제단)와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된 한국광복군 출신 고 김천성 지사(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 중 일본군의 고문으로 순국)와 고 이재현 지사(광복군 제2지대 활동, 국내 침투공작 활동을 위해 대기 중 광복 맞음)의 묘소를 찾아 참배했다.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보수·진보 진영의 이른바 ‘건국절 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될지 주목하고 있다.

건국절은 주로 보수 진영에서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 수립 시점을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이 아닌 1948년 정식 정부 수립을 시점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진보 진영은 제헌 헌법의 전문 구절을 언급하며 1919년을 건국 시점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치권에서는 지난  2007년 9월 당시 한나라당 정갑윤 의원이 광복절을 건국절로 변경하는 국경일 법안을 제출하면서 수면 위로 오르게 됐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건국 60년 기념사업위원회를 출범하고 건국 60년 기념식을 거행함에 따라 논란이 증폭됐다. 이에 대한 국민적 반발이 심해지자 한나라당은 법안을 폐지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2014년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이 건국절 제정 법안을 새로 발의함에 따라 정치권의 논쟁이 재개됐다. 이어 2016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건국 68주년’을 언급했고, 국정교과서의 도입과 맞물렸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광복절 연설에서 2019년을 ‘건국 100주년’으로 언급하면서 이념 대립화됐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1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한민국 역사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제1공화국 수립 전으로 넓게 봐도 전혀 손색이 없을 수 있다는 표현이 경축사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지난 정부는 광복절마다 좌파 색채를 강하게 풍기면서 우리나라 정통성을 갈라치려 했지만, 우리 정부의 키워드는 다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image
ⓒ천지일보 2022.08.07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