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작년보다 5G 투자 늘린다… 주파수 추가 할당은 ‘안갯속’?
임혜숙 장관, 통신 3사 대표와 회동
5G 소비자 편익 증진 위한 방안 논의
주파수 추가 할당 방향·일정은 미공개
“결정 안 나면 다음 정부로 미뤄질 것”
[천지일보=손지아 기자] 올해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통신 서비스에 투자하기로 했던 이동통신 3사가 5G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전년 수준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17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우체국에서 5G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한 투자 확대 방안, 농어촌 공동망 구축, 주파수 공급 등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통신 3사 CEO(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구현모 KT 사장,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와 간담회를 했다.
임혜숙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작년 농어촌 5G 공동망 구축 개시, 5G 28㎓를 활용한 지하철 와이파이 시범 서비스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에 대한 통신사들의 협조에 감사를 표명했으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 주파수 활용 등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통신사들의 영업이익은 증가한 반면 투자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지적을 언급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대국민 서비스 품질의 균형적 개선을 위해 중소도시·농어촌·취약지역 등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해 달라고도 요청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농어촌 5G 공동이용 시범 상용화에 이어 농어촌 5G 공동이용망을 조기에 구축 완료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난 CEO 간담회에서 논의된 전반적인 구축 지역과 수량을 앞당기는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통신 3사 대표들은 5G 등 통신 서비스의 빠른 품질 개선을 위해 올해 전년 수준 이상의 투자를 하기로 했다.
임 장관과 통신 3사 CEO는 5G 주파수 할당 방향 및 일정 등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다만 아직 결과를 공식화하진 않았다. 결과는 이날 간담회가 끝나고 오전 11시쯤 나올 전망이다.
임 장관은 “오늘 간담회는 정부와 통신 3사가 소비자의 편익 향상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민·관이 적극 소통하면서 현안을 해결하고 국민이 공감하는 정책을 개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주파수 추가 할당이) 오늘 결론이 날지 안 날지 모르겠으나 결론이 나지 않는다면 대선 후 다음 정부로 넘어가기 때문에 기약이 없어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