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폭증에 재택치료자 10만명 돌파… 관리여력 한계
정부 “재택치료 보완 방안 검토”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오미크론 여파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재택치료 환자가 10만명을 넘어섰다.
4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환자는 전날(9만 7136명)보다 7721명 증가한 10만 4857명으로 집계됐다.
재택치료자는 지난해 12월 1일 1만 174명으로 처음 1만명을 넘어선 이후 1월 말까지 1만∼3만명대를 오르내리던 재택치료 환자 수는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급증했다. 지난달 28일 처음 5만명을 넘어선 후 일주일 만에 10만명을 돌파했다.
재택치료 관리 여력은 거의 포화 상태에 다다랐다. 전날 0시 기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은 461곳이고, 이들 기관이 담당할 수 있는 관리 가능 인원은 10만 9000명이었다. 환자 150명을 의사 1~2명, 간호사 3~5명이 관리하고 있는 셈이다.
관리 여력이 한계에 근접하면서 재택치료자들이 제때 지침이나 키트를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동네병원도 재택치료 관리에 참여하는 새로운 체계를 전날부터 도입했다. 하지만 아직 참여 병원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미크론의 기동성에 맞서 재택치료 체계도 더 빠르고 더 촘촘하게 보완하는 방안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부는 전날부터 하루 재택치료 모니터링 횟수를 고위험군은 종전 3회에서 2회, 일반환자는 2회에서 1회로 단축했다.
정부는 확진자 증가 상황에 따라 무증상·경증 확진자는 별도 모니터링 없이 스스로 건강 상태를 관찰하는 ‘재택요양’ 형태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