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민단체 “경남도청, 특례시된 창원에 있을 이유 없어”
동부 위주 발전에 불균형 심각
“서부경남, 메가시티서도 소외”
창원시, 광역시 규모 재량부여
“도청 있던 진주시로 환원해야”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가 17일 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균형개발을 위한 경남도청 이전과 이를 수반한 ‘부울경 메가시티’ 사업추진을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낙후된 서부경남을 발전시키고 잃어버린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기치를 내건 단체로 지역원로·문화예술인·체육인·상공인·사회단체장 등 각계 대표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1925년 일제가 경남도청을 강제로 빼앗아 간 이후 2차례의 환원운동에도 불구하고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해 가슴속 응어리로 남아있다”며 “서부경남 대다수 지자체가 소멸위기에 처한 지금 지역균형발전은 생존의 문제이자 ‘부울경 메가시티’ 성공을 위한 최소한의 선택”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후 도청을 품었던 부산은 인구 340만의 거대도시가 됐고 1983년부터 도청 소재지가 된 창원은 인구 100만의 특례시가 되면서 각종 복지와 세재혜택으로 재정확보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반면 도청을 빼앗긴 서부경남은 발전의 원동력을 잃고 전국 8대 낙후지역으로 전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적 지역균형발전을 내세워 출범하는 부울경 메가시티는 광역교통망을 중심으로 동부권 발전에 집중돼 있다”며 “특례시가 된 창원은 행정적·재정적 역량을 발휘해 독자적으로 발전해나갈 것이 자명한바, 이제는 경남도청을 진주로 환원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과거 진주시는 1895년부터 30년간 도청소재지였지만 1925년 일제에 의해 수탈을 쉽게 하고자 부산으로 도청을 이전한 바 있다. 이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도청은 창원으로 재이전했다.
특히 경남도에 따르면 경남은 1970~80년대 국가 산업화 정책에 따라 창원·김해의 동부경남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 결과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의 면적은 경남 전체의 60%가 넘지만 인구와 총생산은 20~25% 수준에 불과해 동서 간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지난달 서부경남 지역구 도의원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서부권역에 대한 전폭적인 발전대책 없이 부울경 메가시티를 추진하는 것은 경남 내 불균형을 심화시켜 수도권 일극주의를 타파하자는 이 사업의 취지를 퇴색시킬 우려가 크다”며 “메가시티 성공에 대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 바로 진주로의 도청 이전”이라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진주로의 도청환원 당위성으로 2000년대 이후 경북, 전남, 충남이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대구, 광주, 대전에 있던 각 도청을 안동·예천, 무안, 홍성으로 이전한 점을 들었다. 창원 역시 신도시에 불과하던 지난 1983년 부산에 있던 도청을 이전해 개발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했기에 이제는 더 이상 도청을 유지할 명분이 없다고 봤다.
이들에 따르면 그동안 민간인 중심의 도청환원운동은 과거에도 진주에서 2차례 전개된 바 있다.
지난 1964년 부산의 직할시 승격 후 경남도청의 마산 이전계획이 발표되자 250명의 시민대표가 참여한 1차 환원 운동이 펼쳐졌다. 또 1977년 정부의 경남도청 창원이전 계획이 언론 보도되자 46명의 시민들이 진주환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동을 펼쳤으나 결국 무산됐다.
한편 인구 100만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는 내용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창원시(104만명)를 비롯한 경기 수원(119만명)·고양(107만명)·용인(106만명) 등 전국 4개 도시는 이달 특례시로 공식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