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패스’ 도입 백화점·대형마트… 고객 발길 끊길까 ‘전전긍긍’
16일까지 일주일 계도기간
고객 ‘불편함’ 최소화 위해
인력 2~3배가량 충원 노력
“업계 전반적 침체될 수도”
“계도기간에 지속 보완할 것”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10일부터 백화점, 대형마트에서도 방역패스가 적용된 가운데 오는 16일까지는 계도기간으로 운영되며 17일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유통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유통업계는 방역패스 관리를 위한 인력 충원 등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역패스가 시행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서나 48시간 내 발급받은 PCR(유전자증폭검사) 음성확인서를 내야 한다. 단순히 입구에서 안심콜이나 QR코드 확인만으로 입장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가뜩이나 비대면 소비로 인해 온라인에 고객을 뺏겼는데 이번 방역패스로 인해 추가 이탈자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부분과 대목으로 꼽히는 설 연휴를 앞두고 방역패스가 도입돼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뿐 아니라 기기 사용에 약한 고령층의 경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면 고객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는 고객이 줄을 서고 기다리는 등의 불편함을 느끼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을 선택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업계 전반적으로 침체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 이날 마트나 백화점에서는 미접종자들이 입구에서 발길을 돌리기도 하고 수십 명이 줄을 서서 대기하기도 했다. 이에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인력 충원에 힘을 쏟고 있다. 일부 매장에서는 고객들의 방역 패스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출입구를 일부 폐쇄하기도 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고객이 게이트를 들어올 때 QR 체크를 하고 ‘14일 경과’나 ‘백신 완료자’라는 메시지를 봐야 입장이 가능하기에 줄을 서거나 하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인력을 많이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마트는 계도기간에 부족한 부분들은 지속 보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방역패스를 하기 전에 출입명부를 하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기기가 이미 어느 정도는 확보가 된 상태였고 이번 방역패스를 하면서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며 “계도기간에 추가로 필요한 부분들은 보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도 실시간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있으며 현재보다 2~3배가량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방역패스 확인 인력을 기존 200여명에서 500여명으로 2배 이상 확대했다”며 “또한 출입구도 500개에서 350여개로 30%가량 축소해서 운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매출에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접종 완료율이 90%가 넘은 상황에서 매출과 관련해 드라마틱한 타격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고령층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방역패스와 혼선이 생기는 등의 불편함은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소비자들은 방역패스에 대해 다소 부정적이다. 한 네티즌은 “피해는 백화점·마트”라며 “미접종자는 어차피 가도 되고 안 가도 된다”고 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마트나 백화점에 입점된 상가들이 피해가 크겠다”며 “해외도 이런 규제는 없다”고 꼬집었다.
이 외에도 네티즌들은 “미접종자 1인도 이제 출입이 안 되니 가혹하다” “저런 확인되는 곳 말고 확인이 잘 안 되는 곳에 모이는 걸 막아야 한다” “어쩔 수 없이 백신을 맞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심하다는 생각도 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본격 시행되는 17일부터는 개인에게 위반 횟수별로 10만원씩 과태료가 부과된다. 시설 운영자에게는 1차 위반 시 150만원, 2차 이상 위반 시 300만원이 부과되며 별도의 행정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1차 위반 시 운영 중단 조치 10일, 2차 20일, 3차 3개월 등 운영 기간이 길어지며 4차 위반 시 시설 폐쇄 명령까지 받을 수 있다. 단 방역패스 예외 대상인 만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은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