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책에도 ‘인플레 비상’… 9월 소비자물가 2.5% 올랐다

2021-10-06     김누리 기자
서울 성동구 뚝섬로 인근 주택가에 도시가스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 (출처: 뉴시스)

물가 6개월째 2% 상승

유가·우윳값 인상 영향

“향후 상방요인 더 많아”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달 식료품에 소비자물가가 2.5% 오르며 6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 폭은 전월(2.6%)보다 다소 축소됐지만, 여전히 고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공식품 물가도 오르는 등 공업제품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다만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되면서 상승 폭이 전월보다는 축소된 모습이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83(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연중 최고치(2.6%)를 기록한 지난 7월과 8월보다는 상승률이 소폭 내렸지만, 4월(2.3%) 이후 반년째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최근 6개월 연속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이상을 보인 것은 2009년 8월부터 2012년 6월까지 2년 11개월 연속 2%대를 나타낸 후 최장 기록이다.

품목별로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 대비 3.7%, 전월 대비 3.4% 올랐다. 올해 상반기 내내 두 자릿수였던 농축수산물 오름폭은 하반기 들어 7월(9.6%), 8월(7.8%)에 축소됐고 지난달엔 더 줄었다. 이 중 달걀(43.4%), 상추(35.3%), 마늘(16.4%), 돼지고기(16.4%) 등이 많이 올랐다. 무(-44.7%), 배추(-40.3%)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2012년 5월(3.5%)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유가와 우윳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가공식품은 2.5%, 석유류는 22.0%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전월 대비 8.0% 상승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변동이 없었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0.1% 상승에 그쳤다. 개인서비스는 2.7% 상승했는데, 이 중 외식물가가 3.1% 올랐다. 개인서비스 중에선 보험서비스료(9.6%), 공동주택관리비(4.6%) 등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집세는 1.7% 상승률을 기록했다. 월세는 0.9%, 전세는 2.4% 올랐다. 전세는 2017년 11월(2.6%) 이후, 월세는 2014년 7월(0.9%)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전기·수도·가스 물가 상승률은 0.0%로 1년 전과 같았다. 전기료 인상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9% 올라 2016년 4월(1.9%)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고 자가주거비포함지수도 2.3% 올랐다. 다만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면서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 심의관은 “개인서비스와 농축수산물, 석유류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고 가공식품이 많이 올랐다”며 “명절 수요 증가와 국민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도 혼재됐다”고 설명했다.

어 심의관은 “향후 물가는 농축수산물 오름세 둔화가 하방요인이지만 상방요인이 더 많다”며 “소비심리 반등으로 개인서비스 가격도 오름세 지속 가능성이 커 보이고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우윳값 인상 등으로 가공식품과 공업제품도 상승 요인이 있는 데다 전기료 인상도 예정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