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9곳 “ESG 경영 준비돼 있지 않다”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결과 발표
거래 대기업 ‘ESG 평가’ 요구 많아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글로벌 경영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는 가운데, 10곳 중 9곳은 도입 준비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ESG 경영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은 절반이 살짝 넘는 53.3%로 집계됐다.
하지만 ‘준비돼 있지 않아(전혀+거의) 어렵다’고 느끼는 기업은 89.4%에 달했다.
또한 ESG 평가를 요구받은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12.0%) 중 ‘대기업으로부터 요구’ 받은 경우가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해외 거래처’가 22.2%를 차지했다.
거래처의 평가 미달 시 결과는 ‘개선요구 후 미개선 시 거래정지’(47.2%)가 가장 높게 나타나 ESG 평가가 실제 거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가 요구 거래처의 지원 수준은 ‘전혀 없음(52.8%)’과 ‘약간의 지원은 하고 있으나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음(30.6%)’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았다.
정부에서 추진 중인 K-ESG 지표와 관련해서는 ‘협력사의 공정거래 운영 노력(52.8%)’이 강조돼야 한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평가지표 필요요소로는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납품단가 반영 노력(60.0%)’ ‘적정 납품단가 지급 및 조정(55.0%)’ ‘공정계약 체결여부(41.0%)’ ‘중소기업 기술보호 노력(20.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이 ESG 경영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정부 K-ESG 지표에 대·중기 공정거래 지표를 세분화·확대하고, 대기업은 저탄소 경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협력사에 대한 일방적 평가가 아닌, ESG 도입 및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설비구축 등 상생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