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도 의원직 사퇴 내모는 국민의힘… 대장동 역풍에 승부수
2030 이탈 우려에 강력 조치
대장동 게이트 특검도 촉구
곽상도 “의원직 사퇴 없다”
[천지일보=이대경 기자] 곽상도 의원의 아들이 대장동 개발 의혹의 핵심인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에서 50억원의 퇴직금을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수세에 몰린 국민의힘이 곽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내몰며 역풍 차단을 위한 승부수를 띄웠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28일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곽 의원이 당을 떠났기에 이제는 의원 거취를 언급할 수밖에 없다”면서 “구체적으로 국회 윤리위, 제명 등의 절차가 있다”고 압박했다.
곽 의원의 자진 탈당으로 마무리되는 국면을 넘어 의원직 사퇴와 제명을 언급하며 초강경 압박에 나선 것이다. 이는 국민의힘의 새로운 지지층인 2030 세대의 이탈을 막고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향한 공세의 불씨를 지속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주자들도 곽 의원에 대한 중징계를 촉구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하태경 의원은 “이재명 게이트가 졸지에 국민의힘 게이트로 둔갑을 하는 황당한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며 “국민의힘 지도부는 곽 의원 국회 제명 절차에 즉각 착수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곽 의원께서 정권교체,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용단을 내려주시길 촉구한다”고 의원직 사퇴를 언급했다.
만약 국민의힘이 제명을 결정한다면 재입당 절차는 까다로워진다. 국민의힘 당원규정 제5조는 당으로부터 제명처분을 받은 자는 제명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재입당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최고위원회의의 승인을 얻은 때에는 예외로 하고 있다.
국회의원 제명을 위해서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헌정사상 국회의원 제명은 유신 말기였던 1979년 10월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가 유일하다.
국민의힘은 곽 의원의 거취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동시에 성역 없는 수사를 위한 특검 도입을 촉구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지위와 권력을 이용해 부당한 이익을 취한 사실이 있다면 어떤 경우에도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힘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여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특검을 통해 '이재명 대장동 게이트'의 모든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전날(27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본인(이재명)이 방송에 나와 ‘설계자’라 자백하고 본인이 사인한 증거까지 명백한데 어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겠는가”라며 “대장동 게이트 몸통은 이재명”이라고 직격했다.
홍준표 의원도 “대장동 개발비리 사건을 본체는 그대로 두고 곁가지 수사에만 집중한다면 그것은 정치 수사의 전형이 될 것”이라며 “도둑의 두목이 거꾸로 우리 보고 떼도둑 운운하는 것을 우리는 바로 적반하장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다만, 곽 의원은 대장동 개발사업 주인이 누군지 밝혀내기 전까지는 의원직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장동 개발사업과 관련된 수사 결과에 따라 제가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으면 의원직까지 어떤 조치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곽 의원은 “저는 대장동 개발사업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 바 없고, 아들이 입사한 회사 ‘화천대유’와 관련해 어떤 일도, 발언도 한 바 없음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기자와 통화에서 “곽 의원이 연루됐지만, 모든 사안의 최고 결정자였던 이재명 지사가 이러한 상황을 몰랐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라며 “이 지사와 민주당이 당당하다면 검찰이 수사 중이라는 핑계만 댈 것이 아니라 특검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