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로 오른 은행 대출금리… 2주 만에 최대 0.3%p 올라

2021-09-22     김누리 기자
영업을 앞둔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모습. (출처: 연합뉴스)

가계대출 규제 압박 영향

코픽스 상승률 보다 웃돌아

대출총량 관리 위한 고육책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시중은행들이 최근 2주 동안 대출금리를 0.3%p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이 대출금리의 기준으로 삼는 코픽스(자금조달지수)가 오르고,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규제 압박을 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들이 가산·우대금리 조정을 통해 대출금리를 시장금리보다 더 큰 폭으로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961∼4.52%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일 은행권 주담대 변동금리가 2.80~4.30%였던 것과 비교해 0.161~0.22%p 높아진 것이다.

변동금리가 아닌 주담대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82∼4.441%에서 3.17∼4.67%로 상승했다. 최저, 최고금리가 각 0.35%p, 0.229%p씩 상승한 것이다. 1등급 차주에게 1년 만기로 제공되는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 17일 기준 3.10∼4.18%로, 2주 전인 지난 3일(3.00∼4.05%)보다 0.1%p가량 올랐다.

현재 은행권은 대출금리를 시장금리를 비롯한 조달비용을 반영한 지표금리 상승폭을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인상하고 있다. 은행들이 주담대 변동금리 지표로 활용하는 코픽스의 경우, 지난 2주간 0.95%에서 1.02%로 0.07%p 상승한 상태다. 최저 0.2%p를 넘는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 오름폭은 지표금리 상승폭의 약 3배에 이르고 있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고정금리는 주로 은행채 5년물 등 금융채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은행채 5년물(AAA, 무보증) 금리는 이달 3일 1.939%에서 17일 2.029%로 2주 동안 0.09%p 높아졌지만,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하단 인상 폭은 거의 4배인 0.35%p에 달했다.

이는 결국 은행권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따라 가산금리를 더 올리거나 거래실적을 반영하는 우대금리를 줄여 금리를 조절한 것이다. 각 은행은 대출 총량을 관리하기 위해 가산금리 인상, 우대금리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대표적으로 KB국민은행의 경우 불과 약 열흘 사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금리를 0.3%p 올렸다. 특히 지난 16일부터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지표금리로 삼는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변동금리(6개월주기 변동)의 우대금리를 각 0.15%p 줄였다. 앞서 3일 같은 종류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변동금리의 우대금리를 0.15%p 낮춘 데 이어 불과 13일 만이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7%를 넘어 일찌감치 지난달 24일부터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신규 담보대출을 전면 중단한 NH농협은행도 지난 16일부터 신용대출의 우대금리, 주택 외 부동산담보 가계대출의 만기 연장 때 적용하는 우대금리 등을 일제히 0.2%p 낮췄다. 소비자 입장에선 결과적으로 0.2%p 오른 대출금리를 적용받게 된 것이다.

문제는 연말까지 아직 1개 분기(10~12월)이 더 남았으나, 이미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관리목표 5~6%에 임박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가계부채 추가 대책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추가 대책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조기 시행과 더불어 전세 대출에 대한 규제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