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도 부자 증가… 상속 부자↓·창업 부자↑”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한국에서 창업형 부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한국, 미국, 일본 등 3개국 상위 주식 부자 150명(국가별 상위 50명)의 2018년과 올해 재산 현황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3개국의 창업형 부자는 2018년 92명(61.3%)에서 올해 98명(65.3%)으로 4.0%포인트(p) 늘었다. 반면 상속형 부자는 58명(38.7%)에서 52명(34.7%)으로 4.0%p 줄었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은 창업형 부자가 2018년 19명에서 올해 25명으로 6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1명 늘어났고 일본은 1명 감소했다. 상속형 부자는 한국과 미국이 각각 6명, 1명씩 줄었고, 일본만 1명 늘었다. 한국에서 3년 전 상위 50위 명단에 없다가 올해 새롭게 진입한 부자 21명 중 창업형 부자는 14명이었다. 미국은 27명 중 13명이, 일본에서는 14명 중 12명이 창업형 부자였다.
세 나라 부자 150명의 재산은 2018년 1조 4914억 달러에서 올해 2조 5075억 달러로 68.1% 코로나19 이후에도 크게 늘었다. 특히 창업형 부자들의 재산은 1조 441억 달러에서 1조 8613억 달러로 78.3% 급증했다. 상속형 부자들의 재산은 4473억 달러에서 6642억 달러로 44.5% 늘었다.
한국의 상위 부자 50명의 올해 재산은 2018년(1258억 달러)보다 5.1% 늘어난 1322억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창업형 부자들의 재산은 495억 달러에서 642억 달러로 29.7% 증가했다. 반면 상속형 부자들은 763억 달러에서 680억 달러로 10.9% 감소했다.
3년 전 우리나라 부자 상위 5명(이건희 삼성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이재용 삼성 부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정몽구 현대차 회장) 중 4명은 상속형 부자였지만, 올해는 이재용 부회장, 홍라희 여사를 제외한 김정주 NXC 이사, 김범수 카카오 의장,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의장 등 3명이 창업형 부자로 상위 5명에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