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확산세 정체됐지만 긴장 늦추면 확진자 폭증 우려”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정부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소강상태지만 긴장을 늦추면 확진자가 다시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방역 협조를 당부했다.
강도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 겸 보건복지부 2차관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는) 유행이 줄어드는 감소세로 전환된 게 아니고 유지되는 수준인 만큼 여전히 위험한 상황”이며 “(여전히) 환자 발생이 2000명에 근접하는 큰 규모인 만큼 자칫 긴장을 늦추면 폭발적인 유행 증가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수도권에서는 지난달 12일부터 현행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됐다. 비수도권도 같은 달 26일부터 한 달가량 3단계가 적용되고 있다. 잇단 고강도 방역 조처에도 확진자 수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최근 1주간(15∼21일) 국내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일 평균 1751.1명이다. 직전 주(8∼14일)의 1780명과 비교해 28.9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1076.9명에서 1101.0명으로 오히려 24.1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고유량(high flow) 산소 요법이나 인공호흡기, 인공심폐장치(ECMO) 등 치료를 받는 위중증 환자는 395명으로 집계됐다. 주간 사망자 역시 32명에서 54명으로 22명(68.8%) 증가했다.
정부는 고강도 거리두기로 유행 규모가 더 커지는 것은 막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 1총괄조정관은 “지난주 감염 재생산지수는 1.02로, 그 전주의 1.10에 비해 감소했다”며 “2주 전 19%라는 큰 폭으로 증가했던 유행 규모(주간 단위 확진자)가 더 이상 급증하지 않고 정체되고 있는 점은 다행스러운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한 명이 주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이 수치가 1 이상이면 유행 확산, 1 이하면 유행 억제를 각각 나타낸다. 8월 초 감염 재생산지수는 0.99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1.10, 1.02 등으로 계속 1을 넘고 있다.
강 1총괄조정관은 “현재 강력한 거리두기와 방역 대응을 통해 유행 규모가 의료체계 여력을 넘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은 방지하고 있다”며 “병상 대기 등의 문제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환자 증가에 따라 여력이 감소하고 있기에 유행 규모가 여기서 더 커지게 되면 적절한 의료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예방접종으로 (감염) 전파 차단, 치명률 감소 등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때까지 유행 수준을 최대한 억제하는 노력이 중요한 시기”라며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