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확산 ‘백신 무력화’ 우려에 치료제 중요성 커져
백신 외 치료 옵션 구축해야
국내도 방역시스템 필요상황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기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더욱 강력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전세계 확산으로 인해 백신뿐 아니라 치료제에 대한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백신을 접종해도 변이에 의한 돌파감염이 발생해 자칫 ‘백신 무력화’ 사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델타 변이가 유행하지 않았을 때는 1차 접종 중증방지 효과를 80~90% 정도 기대했으나 델타 변이 유행 상황에서는 1차 접종의 효과는 이보다 조금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중증방지 효과가 얼마나 떨어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델타 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된 현 상황에서 국내도 변이 대응에 걸맞은 방역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먼저 미국의 경우 백악관은 델타 변이 전파력에 기동성 있게 대응하기 위해 직속 기관으로 ‘델타 변이 전담팀’을 만들어 가동 중이다. 유럽의약품청의 경우 최근 개발된 항체치료제 4가지에 대한 동반심사를 진행 중이다.
이미 국가 수준의 모니터링 체계와 치료제를 포함한 새로운 방역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치들은 백신만으로 코로나19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망’을 막을 수 없다는 데 기초하고 있다. 치료제 개발·도입을 통해 위중증 환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살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를 보인 항체치료제 ‘소트로비맙’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 시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GSK의 항체치료제 소트로비맙은 중증 악화 및 사망 위험을 85% 감소시킨 3상 임상 중간 결과를 받았다. 이 치료제는 지난 5월 미국 FDA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중증 위험이 있는 12세 이상 청소년·성인에 사용이 가능하다.
경구용(먹는)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미국 MSD는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임상 3상에 진입했다. 이르면 오는 10~11월 종료하고 연내 미국 FD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할 계획이다. 국내에선 대웅제약, 부광약품, 신풍제약 등이 경증·중등증 환자를 위한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