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국회서 ‘일방 LH 개편 반대’ 시위… “지역의견 반영해야”
시장·의장 등 거리시위 재개
“지역경제·시민 심각한 타격”
“무더위 속 호소 외면 말라”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최근 정부가 인력·기능축소 내용을 담은 ‘LH 혁신안’을 발표하자 지역 각계에서 이를 규탄하는 거리 캠페인과 상경 릴레이 1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경남진주혁신도시(LH)지키기 운동본부’는 17일 폭염과 휴가철로 한달간 중단됐던 거리 캠페인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운동본부는 LH 조직개편과 관련한 혁신안이 지역사회와 논의 없이 정부로부터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반대하며 지난 6월 출범한 바 있다.
출근 시간대에 1시간가량 진행된 이날 캠페인에는 조규일 진주시장, 이상영 시의회 의장이 동참해 LH 해체에 반대하는 지역 여론에 힘을 보탰다.
이날 조 시장은 “지난달 열린 국토부 주관 LH 조직 개편안 공청회에서 LH 해체에 대한 수많은 반대의견과 지역민 의견을 반영해달라는 목소리에도 여전히 국토부는 묵묵부답으로 대응해 시민들의 상실감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죽하면 시민들이 이 무더위에 거리로 나와 LH 해체 반대를 호소하겠는가”라고 물으며 “정부는 지역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촉구했다.
이상영 의장도 “LH 해체와 관련해 저 역시 거리에서 1인 시위를 계속해오고 있다”며 “진주시민들의 민의를 대표하는 시의회는 경남혁신도시의 성장동력을 없애는 ‘LH 해체 혁신안’을 끝까지 반대하고 LH를 사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권순기 총장은 “LH 사태로 가장 피해를 보는 건 결국 대학생들이며,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믿고 취업을 준비해온 지역 대학생과 청년들의 희망을 꺾는 일”이라며 “LH 사태로 지역의 젊은이들이 피해를 보지 않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운동본부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LH의 젊은 직원들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는 소식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며 “정부는 지역민과 청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올바른 LH 개혁과 혁신을 위한 장기비전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진주공예인협회와 ㈔진주투우협회도 상경 릴레이 시위에 동참해 지역 상생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박민철 공예인협회 사무국장은 “LH는 국가균형발전의 뿌리이며 지역경제의 버팀목이므로 지역경제와 청년일자리를 위해서라도 해체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강동길 투우협회 부회장도 “코로나19로 지역경제가 흔들리는 와중에 LH 일부 직원의 부정행위에 LH 해체 수준의 개혁은 말이 안 된다”며 “지역 의견을 수용한 합리적인 개혁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진주지역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LH 혁신안 발표 이후 조규일 시장을 시작으로 시민단체의 국회 릴레이 1인 시위, 성명 발표, 거리 캠페인이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지역에서 정부 방안에 ‘결사반대’하는 이유는 경남혁신도시의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LH에 대한 인력감축과 기능축소가 본격화되면 지역경제도 덩달아 막대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진주시에 따르면 LH는 연평균 400억원 이상의 지방세 납부, 지역인재 채용, 창업지원 등 진주를 포함한 경남 지역에 연평균 1200억원 규모의 경제적 기여를 해왔다. 특히 매년 1000명이 넘는 인턴을 모집하고 400명이 넘는 정규직원을 채용하고 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신입직원 150명, 업무직 160명, 청년인턴 700명 등 총 101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계획대로라면 이미 상반기에 서류·필기 면접전형을 마치고 임용 준비에 한창이어야 하지만 땅 투기 의혹에 휩싸이면서 모든 채용 일정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