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삼바 개인정보 유출, 차기 안건 상정 논의할 것”

사업지원실 관련해선 “운영이 관건… 주의 깊게 살펴볼 것”

2025-11-25     김정필 기자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참석하면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5.11.25.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25일 최근 불거진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의 직원 정보와 인사 자료 내부 유출 사건과 관련해 “오늘 위원회에서 차기 안건으로 이 문제를 다뤄볼지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찬희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바이오가 준감위 관계사인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자회사는 아니라 감사할 수 있는 권한이 사실상 현재 지분구조로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어 “삼성물산이 저희 관계사인 만큼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희도 주의 깊게 바라볼 생각”이라며 “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시스템의 문제인지 아니면 과실인지 살펴볼 수 있다. 정보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준감위의 감시를 받는 삼성 계열사는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SDI 등 7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명단에 포함돼 있지 않다. 

앞서 삼성바이오는 전산 개선 작업 진행 중이던 지난 6일 고과 및 승격 임직원과 관련한 비공개 정보와 일부 개인정보가 유출되며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삼성바이오 노조는 유출된 정보에 노동조합 집행부 기록이 집중적으로 담기는 등 노조 사찰이 지속돼 왔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에서도 직원의 개인정보, 고과평가 등이 노출됐다는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이달 초 정현호 부회장의 용퇴와 함께 삼성전자의 사업지원 테스크포스(TF)를 사업지원실로 격상시킨 것과 관련해선 “제도라는 것이 이름보다는 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준법 영역에서 만약 문제되는 부분이 있을지 계속 주의 깊게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관련해선 직접적인 표현은 피했지만 이 위원장은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위원회가 판단하거나 입장을 정리할 사안이 아니며 제가 공식 입장을 말할 위치에 있지 않다”면서도 “신념에 변화가 있을 만한 특별한 이유는 아직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