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G20 마치고 튀르키예로… 취임 6개월 ‘다자외교’ 사실상 마무리

대통령실 “한국, 다자무대 정상 복귀”

2025-11-24     유영선 기자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G20 회원국 및 초청국 정상, 국제기구 수장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오른쪽부터 파블로 키르노 아르헨티나 외교부 장관,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무장관,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이재명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주앙 로렌수 아프리카연합(AU) 의장, 올해 의장인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에드가르 아브람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부 장관, 막심 오레쉬킨 러시아 대통령실 부비서실장,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끝내고 이번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마지막 방문국인 튀르키예로 향했다. 지난 6월 취임 이후 G7·유엔총회·APEC·아세안·G20까지 숨 가쁘게 이어진 다자외교 일정을 이번 순방으로 사실상 마무리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UAE·이집트 방문에 이어 21일 요하네스버그에 도착해 G20 회원국 자격으로 22~23일 3개 공식 세션에 참석했다. 첫 세션에서는 ▲개도국 부채 취약성 완화 ▲다자무역체제 복원 ▲개발협력 효과성 강화 등 ‘포용 성장’ 해법을 제시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강화 의지와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국제 기여 방향을 설명했다.

정상회의 기간 동안 양자외교도 활발했다. 이 대통령은 프랑스·독일 정상과 회담하고 인도·브라질 정상과도 별도 회동했다.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국 협의체 MIKTA 회의에도 참여하며 외교 일정을 이어갔다.

튀르키예에서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방산·원전 분야 협력 확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17일 시작된 7박 10일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마지막 일정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G7 정상회의 참석을 시작으로 9~10월 유엔총회와 아세안 정상회의, 이후 의장국으로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연이어 다자외교 무대를 소화했다. 한중일 정상회의도 조율 중이나 연내 개최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로 불확실성이 커졌던 외교 환경이 이 대통령의 연속 다자외교 행보로 정상화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주요 외교일정을 거의 마친 이 대통령은 귀국 후 사법·경제·사회 개혁, AI 전환, 관세 협상 후속 조치 등 국내 현안에 집중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