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 “우리도 한 번 써볼까?”

2025-11-19     백은영 기자
[천지일보=백은영 기자] 국립한글박물관은 19일 오전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를 개최, 내년 3월 22일까지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진행한다. 사진은 19일 오전 진행된 전시설명회 모습.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있다. ⓒ천지일보 2025.11.19.

[천지일보=백은영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강정원)의 ‘한글실험프로젝트’가 그 다섯 번째 여정을 시작했다. 

박물관은 19일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를 개최, 내년 3월 22일까지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쓰기’와 ‘도구’가 만드는 글자의 질감을 탐구하는 실험적 시도로 23팀의 작가, 디자이너와 협업해 시각, 공예, 제품, 공간, 미디어아트, 설치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소개한다.

[천지일보=백은영 기자] 19일 진행된 전시설명회에서 작품을 감상 중인 모습. 박제성 작가의 ‘자간(The Spacing, 미디어아트, 2025)’ 작품이 스크린에 펼쳐진 모습.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공지능은 쓰기 도구를 넘어 쓰기를 확장하는 협업자라는 새로운 존재로 바라봤다. 작가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한글 단어들로 나열하고, 인공지능은 이 추상적인 단어들을 조합해 구상적인 이미지를 생성한다. 글자와 글자 사이의 연결이 시각적으로 구현되면서 나타나는 이미지는 모호하고 신비로워 보이며, 이는 마치 인공지능이 꾸는 꿈처럼 느껴진다. 이 과정에서 한글 쓰기는 작가와 인공지능의 협업을 거쳐 새롭게 변형되고 재생성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행위로 제시된다. ⓒ천지일보 2025.11.19.

전시는 쓰기의 의미, 도구, 행위, 글자, 미래의 쓰기 방식(AI) 등으로 구성, 쓰기 도구의 물성에서부터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까지 글쓰기와 기록 행위의 의미를 총제적으로 조명한다.

전시장 초입에 자리한 ‘기대고, 붙잡히고, 매달리고, 휘둘리고’는 4명의 글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새로 쓴 글을 특별하게 소개하는 작품이다.

‘사각의 탈출(김초엽)’ ‘흔적 사전(김영글)’ ‘계속 나의 언어로 쓰는, 지극히 주관적인 이유(김성우)’ ‘쓰기의 감각과 생각하는 인간(전병근)’은 모두 쓰기와 도구를 주제로 한 단편 작품이다.

전시장에서는 글자를 담는 그릇인 책의 속성을 물성화해 만든 4개의 설치물과 함께, 4편의 작품 전체 내용을 만날 수 있다.

[천지일보=백은영 기자] ‘마음을 쓰다(임태희)’. 쓰기 도구를 쥐고 압력을 가해 흔적을 남기는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감각을 동원하며 마음을 단련한다. 작가는 이러한 감각의 종합을 마음을 쓰는 행위로 보고, 쓰는 이를 위해 이동성과 가변성을 지닌 가장 사적인 쓰기 공간을 제안한다. 한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다양한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처럼 최소한의 도구가 결합해 여러 형태의 공간이 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천지일보 2025.11.19.

‘마음 쓰이는 쓰는 마음(한동균)’은 창작, 필사, 일기 등 쓰는 행위의 의미를 찾고 연필, 만년필, 노트, 잉크 등 쓰기의 도구를 제작 혹은 수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누구나 전시와 작품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쓴 전시 설명과 패널이 준비돼 있고, 시각장애인과 저시력자를 위한 묵점자책도 비치돼 있다.

2016년 첫발을 내디딘 한글실험프로젝트는 디자인적 관점에서 한글을 재해석하고 예술 및 산업 콘텐츠로서 그 가치를 조명해왔다.

문자의 본질 탐구에서 글쓰기의 의미론적 가치, 행위, 도구로 주제의 범위를 넓혔으며, 시각 분야 외에 패션, 음악, 문학 등으로 표현적 사고의 확장을 이끌어왔다.

한편 국립한글박물관은 내년 훈민정음 반포 580돌, 한글날(가갸날) 100주년, 훈맹정음(訓盲正音) 100주년을 맞아 특별전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