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영동군-노근리재단, 공원 운영권 두고 갈등 심화
재단 측 “협의 없이 운영권 강탈” 반발 군 “효율 위해 시설관리 직영 불가피”
[천지일보 영동=김홍진 기자] 노근리평화공원 운영권을 두고 충북 영동군과 노근리국제평화재단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재단 측은 18일 영동군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영동군이 사전 설명이나 협의 절차 없이 공원 운영을 직영 체제로 전환하려는 것은 재단과 유족들을 무시한 처사”라고 일갈했다. 이어 “재단은 지난 13년간 아무 문제 없이 잘 관리해왔다”고 주장했다.
노근리 사건희생자유족회도 “재단과 유족회는 그간 71억 7500만원의 국비를 확보해 공원 운영을 본궤도 올려놨더니 영동군이 일방적으로 운영권을 뺏으려 한다”며 “고압적이고 일방적인 부분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앞서 노근리평화공원은 한국전쟁 초기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경부선 쌍굴다리에서 학살된 피란민의 넋을 기리기 위해 지난 2011년 사건 현장 인근에 조성됐으며 13만 240㎡의 넓은 터에 위령탑, 위패봉안관, 평화기념관, 교육관, 생태공원 등을 갖췄다.
그러나 최근 영동군이 ㈔노근리국제평화재단이 위탁받은 공원을 다시 군이 직접 관리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갈등이 커졌다.
영동군은 올해 말 위탁 계약 종료를 앞두고 군의회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직영 전환 논의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군은 “재단이 기념사업에 치중하면서 시설 관리가 소홀해지고 민원이 발생했다”며 “군비 지원 확대 요구가 지속된 점 등도 직영 검토의 배경이 됐다”고 덧붙였다.
또한 영동군은 재단 측이 새로 지어진 위패봉안관 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으며 직원 급여나 정년 기준 등을 임의대로 정해 군의 위탁 부담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재단 측은 반박 자료를 제시하며 군의 주장을 일축했다. 정구도 재단 이사장은 “생태공원 등 공원 외부시설과 합동묘역 관리 책임은 영동군에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관리 대상 시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군비 증액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인사 및 급여 규정 역시 적법하게 이행했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지금까지의 갈등은 군 담당 공무원의 업무 미숙과 전문성 부족에 기인한다”며 군의 직영 주장에 명분과 실익이 없다고 비판했다. 재단은 공원 관리와 기념사업을 종전처럼 재단에 위탁하도록 권고한 행정안전부 공문도 공개했다.
영동군 관계자는 “공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시설은 공무원이 직접 관리하고 기념사업만 외부기관에 위탁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