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아카샤-레이어 제로, 기억의 첫 지층
“블록체인을 인문학으로 풀어낸 세계최초 시조집”
차가운 기술언어 속 꿈과 기다림·약속·철학 담아
[천지일보=박혜옥 기자] 전통 시조 문학과 첨단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전혀 다른 두 세계가 최초로 하나의 시적 언어로 통합된 특별한 시조집이 출간됐다.
건강신문사가 천숙녀 시인의 신작 ‘아카샤-레이어 제로, 기억의 첫 지층’을 선보이며 “블록체인 기술을 인문학적 의미로 재해석한 세계 최초의 시조집”이라고 소개했다. 기술·문학계 양쪽에서 동시에 주목을 끌고 있는 이 시집은 전통 시가 형식인 시조가 최첨단 디지털 기술 개념을 품어낸 새로운 문학적 실험이자, 기술 시대의 인문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천숙녀 시인은 40여 년간 ‘독도’의 지명을 문화예술로 승화시키는 사회운동을 펼쳐온 인물로, 기억과 기록, 진실을 지키는 일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삶의 중심에 두어왔다.
시인은 블록체인의 ‘불변성’과 ‘분산 기록’ 개념이 자신의 사회운동적 신념과 뿌리 깊은 철학적 공명을 이룬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새로운 창작에 나섰다. 기술의 언어를 처음 마주했을 때 “차갑고 인간과는 동떨어진 세계처럼 느껴졌다”고 말한 그는, 그 속에서 “꿈과 기다림, 약속과 철학”을 발견하며 기술 용어를 시적 언어로 번역하기 시작했다.
이 시집은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블록, 트랜잭션, 영지식증명(ZKP), 탈중앙화, NFT, 메타버스 등을 인간의 기억·신뢰·존엄성·정체성 등의 인문학적 가치로 재해석한다. 예를 들어 ‘블록’은 “기억의 집” 트랜잭션은 “믿음을 옮기는 손길” 탈중앙화는 “중심 없는 중심” 영지식증명은 “보여주지 않고도 증명하는 힘”으로 다시 태어난다. 복잡한 기술 개념이 시조라는 응축된 형식을 만나 인간학적 의미를 품게 되는 독창적 시도다.
레이어 제로를 다루는 연작 시에서는 단절과 분절된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갈망을 기술적 개념과 중첩시켜 표현했다. NFT·메타버스 연작에서는 물리적 자아와 디지털 자아의 경계를 탐색하며 존재증명의 새로운 형태를 시적으로 탐구한다. 이 밖에도 슈퍼노드, 패시브 인컴, 스테이블코인 등 실용 기술 개념을 신뢰·연대·미래 비전의 언어로 재정의한 점도 주목된다.
해설을 맡은 오인택 박사(IT정책·경영 전문가)는 “기술과 문학의 경계를 넘어선,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새로운 지층을 구축한 기념비적 시도”라고 평가했다. 그는 “기술은 결코 차가운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감성과 윤리적 지향을 담아 함께 진화할 수 있는 존재임을 이 시집이 증명한다”고 덧붙였다.
‘아카샤 – 레이어 제로, 기억의 첫 지층’은 기술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친숙한 개념을 인문학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다리가 되고, 문학 독자들에게는 기술의 세계를 새롭게 이해하는 창이 되는 독창적 작품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인문학의 언어로 번역한 세계 최초의 시조집이라는 타이틀처럼, 기술문명 시대 문학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향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천숙녀 지음 / 건강신문사 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