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환동해 블루카본센터 2028년 준공 목표

2025-11-05     장덕수 기자
블루카본센터 조감도. (제공: 경상북도) ⓒ천지일보 2025.11.05.

[천지일보 경북=장덕수 기자] 경상북도가 오는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환동해 블루카본센터’의 설계 공모 당선작을 확정했으며 11월 중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한다고 5일 밝혔다.

환동해 블루카본센터는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병포리 17-13 일원에 부지 2만 1984㎡, 총면적 4523㎡에 지상 3층 규모로 총사업비 400억원을 투입해 2029년 3월 개원을 목표로 한다. 블루카본센터는 해조류 기반 블루카본 연구, 해양 탄소흡수 메커니즘 분석, 블루카본 산업화 기술개발, 해양환경 교육과 홍보 기능을 갖춘 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된다.

블루카본은 맹그로브 숲, 염생습지, 해초초원과 같은 연안 생태계가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자연 기반 해양 탄소저감 개념으로 국제적으로 이 세 가지 생태계가 블루카본 저장원으로 공식 인정받고 있다. 지난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총회에서 ‘국가별 탄소배출 산정기준’에 해조류, 갯벌 등을 공식적으로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검토해 최종 보고서에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경상북도는 이러한 국제적 변화에 맞춰 ‘환동해형 블루카본 모델’을 구축하고 동해안 특유의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탄소흡수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조류 복원과 대량 배양 기술, 탄소저장량 측정 및 평가체계 확립, 블루카본 산업화 기반 기술개발, 국제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경북도에서 2022년부터 설립을 추진한 ‘환동해 블루카본센터’의 본격 건립과 해조류의 탄소 흡수원 인정이 시기적으로 적절하게 맞아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해조류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해양 탄소중립의 표준모델을 제시해 환동해 블루카본센터를 세계적 해양 탄소 연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