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합참의장 “전작권 전환에 의미있는 진전… 지속해서 노력”
회의 결과는 4일 SCM에 보고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한미 합참의장이 3일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이뤘다며 전작권 전환 조건 충족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기로 했다.
진영승 합참의장과 존 대니얼 케인 미국 합참의장은 이날 서울 용산 합동참모본부 청사에서 제50차 한미 군사위원회 회의(MCM)에서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케인 합참의장의 방한은 지난 7월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이번 회의에는 손정환 합참 전략기획본부장과 사무엘 파파로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도 참석했다.
이들은 공동보도문에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기준에 따라 진행된 연간 평가 중 많은 부분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며 전작권 전환 조건 충족과 연합방위태세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하기로 했다.
전작권 전환 조건의 충족 여부는 전구급 한미 연합훈련 등을 통해 정례적으로 평가한다.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는 표현은 올해 전반기 한미 연합연습인 ‘자유의 방패(FS)’에서 성과가 있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 한미 핵협의그룹(NCG) 지침에 따라 ‘핵·재래식 통합(CNI)’ 개념을 지속 발전시키고, 북핵 위협에 대한 동맹의 억제력 제고를 위해 한미 CNI 활동을 더욱 진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이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상황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와 전 세계 군사력 경쟁 심화로 인해 복합적이고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최근 북한이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통해 군사력 강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한미동맹은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해당 위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측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와 개방성을 유지하고, 잠재적 위협 세력에 대한 억제와 상호이익 보장을 위해 동맹 및 파트너국과 협력할 것을 재확인했다.
회의 결과는 4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에서 열리는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 보고된다.
한미는 한국 방위를 위한 전략지시와 작전지침을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제공하고 양국 간 군사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MCM을 갖는다. 1978년 최초 MCM 개최 이후 서울과 워싱턴 D.C.를 오가며 매년 개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