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美 상호관세 피해기업에 4.6조 긴급 지원

철강 등 기업에 특례보증 K-수출물류 바우처 신설

2025-09-03     유영선 기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총 4조 6000억원 규모의 종합 대책을 내놨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 상호관세 시행에 따른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발표하며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철강·알루미늄 등 관세 부과가 우려되는 업종을 대상으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이 참여하는 위기극복 특례보증(4조 2000억원)이 신설된다. 여기에 긴급 경영안정 자금(3000억원),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1000억원), 신시장 개척 자금(1000억원)도 추가로 편성됐다.

또한 특례보증 총량을 3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정책자금 지원 요건도 완화해 보다 많은 기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관세청과 협력해 관세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철강·알루미늄 등 주요 품목에는 전문 컨설팅을 제공한다. 협력사 지원에 적극 나서는 대기업에는 동반성장지수 우대와 같은 인센티브도 부여한다.

물류 부담 완화를 위해 105억원 규모의 ‘K-수출물류 바우처’가 신설된다. 이를 통해 국제운송료와 해외 내륙 운송비를 지원하고, 기존 수출바우처의 국제운송비 한도도 한시적으로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상향한다. 아울러 미국 내 화장품 전용 물류센터 두 곳을 구축해 배송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중기부는 단기 대책과 함께 중장기 수출 전략도 병행한다. 내수 강소기업의 수출 전환을 돕고, ‘체험-문화-관광-산업’을 결합한 K-뷰티 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동시에 ‘4대 K-소비재 수출 전략(뷰티·패션·라이프·푸드)’을 추진해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또한 중소기업이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에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온라인 수출 물류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하반기 중 발표한다. 아울러 개별법에 흩어져 있는 수출지원사업 근거를 단일 법체계로 일원화해 제도적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한 장관은 “관세와 정책 정보를 모든 채널을 활용해 신속히 알리고 우리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