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김포시의회, 홍보예산 21억 전액 삭감… 시민 위한 결정인가?
[천지일보 김포=김미정 기자] 김포시와 시의회의 갈등이 결국 시민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김포시의회가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에서 홍보예산 21억 560만원을 포함한 총 37억여원을 전액 삭감하면서, 김포시의 홍보활동이 사실상 마비될 위기에 처했다. 김포시는 이를 두고 “시민의 알 권리를 침해한 결정”이라고 반발했으나, 시의회는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시민들의 목소리는 철저히 배제됐다는 점에서 시의회의 결정이 과연 정당했는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
이번 홍보예산 삭감은 단순한 예산 문제를 넘어 김포시와 시의회의 갈등이 표면화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시의회가 홍보기획관을 강도 높게 비판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정영혜 김포시의원은 “홍보기획관이 언론과의 갈등을 조장하고, 시정 비판에 대한 법적 대응을 남발하는 등 공직자로서의 본분을 망각했다”며 예산 삭감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논리로 인해 김포시 홍보활동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는 점에서 시의회의 결정이 시민들을 고려한 것이었는지는 의문이다.
홍보예산이 삭감되면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시민들이다. 김포시는 ‘대한민국 책의 도시’ 홍보 영상 제작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으며, 김포시민의 날, 한강마라톤, 아라마린페스티벌 등 주요 행사에 대한 홍보도 어려워졌다. 또한 언론 홍보, SNS 운영, 시정 소식지 발간 등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 시민들이 시정 정보를 접할 기회 자체가 대폭 줄어들게 된다. 특히 시민만족도 99%를 기록한 '김포마루' 제작이 중단됐으며 시민들의 주요 정보창구 역할을 했던 카카오채널 운영도 중단되면서 시정 홍보가 사실상 마비될 것으로 보인다.
김포시는 이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시의회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시 관계자는 “홍보예산은 단순한 홍보비용이 아니라 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필수 예산이며 민생과 직결된다”며 “시의회가 대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전액 삭감한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홍보예산 삭감이 김포시의 전국 홍보 계획에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김포시는 “기본적인 홍보 예산조차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전국적인 홍보가 불가능해졌다”며 우려를 표했다.
시의회가 “혈세 낭비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하려면, 홍보 예산 없이도 시정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대안을 함께 제시했어야 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대안 없이 홍보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고, 그 결과 시민들에게 직접적인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김포시의회의 이번 조치는 마치 홍보기획관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결단처럼 보이지만, 그 피해는 오롯이 시민들이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더욱이 김포시의회는 지난해 원 구성 지연으로 인해 의회 개회조차 하지 못하는 파행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원 급여와 수당을 연 84만원 추가 수령할 수 있도록 월정수당 조례를 개정해 시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홍보예산 전액 삭감이라는 초유의 결정을 내리면서, 시의회의 결정이 과연 시민을 위한 것이었는지 더욱 의심스럽다.
김포시 또한 홍보기획관 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원만히 조정하지 못하고 홍보예산 삭감으로까지 이어지게 만든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행정 홍보는 단순한 홍보활동이 아니라 시민과의 소통 창구이며, 이를 전면 차단하는 것은 시의회가 시민들의 알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정치적 대립 속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결국 시민들이다. 김포시와 시의회는 감정적 대립을 벗어나 시민을 위한 행정을 고민해야 하며, 이번 홍보예산 삭감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