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25% 관세에… 정부, 이달 ‘철강 통상 대응 방안’ 발표
안덕근 장관, 철강업계 간담회 포스코·현대제철 등 CEO 참석 “철강 무역장벽 발빠르게 대응”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정부가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 등 철강 산업의 대내외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이달 중 마련하기로 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3일 오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철강 업계 간담회를 열고 전날 미국이 발효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조치 등에 대한 대응 방향을 공유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박성희 KG스틸 사장 등 철강업계 대표와 이경호 철강협회 부회장,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서명한 ‘미국으로의 철강 수입 조정’ 행정명령이 우리나라 시간으로 지난 12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됐다. 이때부터 모든 수입산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가 부과됐고, 우리나라에 적용됐던 연간 263만톤(t)에 대한 무관세 쿼터(수입물량 제한) 제도가 폐지됐다. 이에 따라 한국산 철강이 미국에 수입될 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안덕근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어제부로 우려하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가 발효됐다”며 “미국뿐 아니라 인도, 유럽연합(EU) 등 주요국도 철강 무역 장벽을 높이고 있어 정부는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기업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지원 수단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철강업계는 이번 간담회에서 사별 대응 방안을 공유하고 정부에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철강업계는 미국의 25% 관세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강관, 도금, 주석도금 등 우리나라 철강사가 수출하고 있는 다양한 철강재 품목의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 마련도 건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철강 업계 의견을 반영해 이달 중 철강 통상 및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철강 업계에 지난달 방미 성과를 설명하면서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면담하고 관세 조치 계획에 대한 우리 기업의 우려를 전달하고 면제를 요청했다. 상호관세 등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며 “이런 논의의 큰 틀에서 철강 관세도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을 방문 중이라고 소개하고 고위급 교류를 비롯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당면 현안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그는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 및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면서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